최경환 “위안화 절하, 한국 경제에 부담 … 시나리오별 대비책 마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차이나 쇼크’에 시장의 불안이 고조되자 정부도 대응 수위를 점차 높여 가고 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중국 정부의 위안화 평가절하가 한국 경제에 부담이 되는 측면이 크다”며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참석해서다. 그는 “위안화 절하는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신흥국의 불안 증대와 경쟁적인 환율 절하 가능성을 유발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키고 있다”며 “앞으로 있을 미국 금리 인상과 맞물려 대외 리스크(위험)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간 위안화 절하,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나왔던 최 부총리의 발언 중 경계의 강도가 가장 강하다. 금융 당국도 21일 관계기관과 시장 동향 점검회의를 열 예정이다.

 그간 정부의 입장은 눈에 띄는 대응을 자제하는 ‘로키(low-key)’에 가까웠다. ‘외풍’에서 비롯된 불안을 다스릴 뾰족한 수단도 없는 데다 정부가 조바심을 내는 것으로 비춰졌다간 오히려 시장의 불안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그러나 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고 외국인 투자자의 ‘엑소더스’ 우려까지 나오면서 손을 놓고 있기 어려워졌다. 경제적 차원의 대비책 마련을 넘어선 보다 적극적인 경제·외교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민근 기자 jm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