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영향 한국 부도위험 6개월 만에 최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이주열

중국이 사흘 연속 위안화 가치를 대폭 끌어내린 여파로 한국의 부도 위험지수가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위안화 절하 여파로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심화된 데 대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위안화 절하에 따른 영향은 복합적”이라며 “환율과 같은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에 대해 “경제적 영향력이 큰 중국이 환율 산정 방식을 바꿔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통화가 큰 폭의 조정을 겪고 있다”며 “(한국의) 수출경쟁력과 자본유출 측면에서 영향이 나타나겠지만 상당히 복합적인 만큼 앞으로 진전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달러 당 위안화 가치를 전날보다 1.11% 낮춘 6.4010 위안으로 고시했다. 11일부터 사흘 연속 중국 위안화 가치는 4.59% 하락했다.

 이 여파로 한국의 부도위험지수가 급격히 올라갔다. 한국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에 붙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13일 기준 63.10bp(1bp=0.01%)를 기록해 올해 2월12일(63.96bp)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CDS 프리미엄은 국가나 기업의 부도위험 정도를 보여주는 지수다. 한국의 CDS프리미엄은 중국의 위안화 절하 시작 이전인 10일(55.50bp)보다 13.7% 급등했다. 아시아 16개 주요국 중 태국(20.6%) 다음으로 많이 올랐다.

 파장이 커지자 한은은 이날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고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국제금융시장 변화와 금리, 환율과 같은 국내 금융시장 움직임을 점검했다. 기획재정부도 같은날 ‘경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시장동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총재는 “환율의 변동 폭이나 속도가 과도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유의깊게 지켜보겠다”고 설명했다.

 금통위는 이날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전달과 같은 연 1.50%로 동결했다. 위안화 변수에 당장 대응하기보다 연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비하고 그간 경기 부양책의 효과를 지켜볼 시기라고 금통위원은 뜻을 모았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