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소비자 울리는 ‘메르스 예방 식품’ 허위광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아쉽게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을 예방하는 과학적 방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2012년 원인 바이러스만 찾았을 뿐 예방 백신이나 치료제도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충분히 연구할 시간과 투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임상 사례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정리해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의 사망률이 비교적 높다는 정도만 알려졌을 뿐이다. 하지만 면역력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사람도 사망한 사례가 있다.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 외에 확실한 예방법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도 인터넷을 살펴보면 아무런 과학적 근거도 없이 ‘면역력을 길러 메르스를 막아준다’는 식품을 버젓이 선전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한 달간 단속했더니 32개 인터넷 업체와 105개 블로그가 걸려들었다. 공포에 빠진 국민 심리를 이용해 부당 이익을 취하려 하는 것은 반사회적인 행동이다. 광고에 현혹돼 아무런 효과가 없는 식품을 사먹는 국민만 손해를 본다. 이 과정에서 특정성분을 과다 섭취할 경우 부작용을 겪게 될 수도 있다.

 정부는 국민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단속을 일회성에 그치지 말고 추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제 업체는 강력한 행정조치와 적극적인 형사고발로 경종을 울려야 한다. 국민적 악몽인 메르스를 앞세워 소비자를 현혹하는 악덕 업자가 다시는 나올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철퇴를 내려야 한다.

 메르스 허위광고는 그동안 경제력 향상과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맞물리면서 검증되지 않은 허위·과장 건강정보가 인터넷 등에 범람하면서 생긴 사회병리 현상의 일종이다. 정부는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철저하게 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보건단체·교육단체와도 손잡고 생애 전주기에 걸친 국민보건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국민에게 연령·지역·시기별로 사회발전과 환경변화에 맞춘 보건정보를 주기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건강·보건 문제나 의약품·건강식품 오남용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사전에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