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복구비 올 230억弗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미국이 전후 이라크 복구 비용의 대부분을 이라크 돈으로 충당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세계 2위의 매장량을 자랑하는 이라크의 석유를 팔아 재원으로 삼는다는 얘기다. 이는 점령국이 피점령국의 재건비용을 책임지는 국제 관행과는 다른 것이다.

중동의 경제주간지 '중동경제조사(MEES)' 최신호는 올해 이라크 국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복구사업에 들어갈 돈은 2백30억달러(약 27조6천억원)로 추산되는데, 이중 대부분이 이라크의 석유수출 대금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1백11억달러는 그동안 유엔이 관리해 온 이라크의 석유수출계좌(석유.식량 교환 프로그램)에서, 45억달러는 연내 이라크가 석유를 수출해 벌 돈으로 충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동결해온 이라크의 해외자산 40억달러가 보태지며, 나머지는 유엔 등 국제기구와 선진국들의 지원자금으로 메워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4월 미 행정부는 의회에 전후 이라크에 대한 긴급구호와 복구 비용으로 24억5천만달러만 신청했다.

내년 이후의 재건사업도 이라크의 석유수출 대금과 사담 후세인의 은닉재산(50억~1백억달러로 추정) 환수 범위 안에서 추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22일 유엔의 대(對)이라크 경제제재 해제 조치를 얻어냈고 동시에 향후 석유수출 대금은 물론 석유.식량 프로그램에 남아 있던 4백억달러 가까운 돈도 수중에 넣었다.

뉴욕=심상복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