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오산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 실수로 배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군 연구소가 지난 1년간 치명적인 패혈증을 유발하는 살아 있는 탄저균을 경기도 오산 미군기지와 미국 내 9개 시설에 실수로 배송한 것으로 28일(현지시간) 드러났다.

 스티븐 워런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유타주의 육군 연구소에서 부주의로 인해 살아 있는 탄저균 표본을 버지니아·메릴랜드 등 미국 내 연구시설 9곳과 한국 오산의 주한미군 기지에 배송했다”고 밝혔다. 워런 대변인은 그러나 “배송된 표본은 관련 규정에 따라 폐기했으며 일반인의 위험 사례나 해당 연구소 인력 등의 감염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주한미군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산 공군기지에 있는 응급 격리시설에서 탄저균 표본을 폐기 처분했다”며 “(표본을 갖고 진행됐던) 제독 훈련에 참여했던 요원 22명이 감염됐을 가능성에 대비해 관련 검사를 실시하고 항생제 등을 투여했으며 현재 누구도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또 “일반인들에겐 어떠한 위험도 노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생화학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탄저균은 공기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어 전염성이 높다.

  유타주의 육군 연구소는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죽어 있는 탄저균 표본인 ‘AG-1’을 정부 및 민간 연구소 등에 보내왔다. 그러나 지난해 4월 메릴랜드주의 민간 연구소가 받았던 탄저균 표본이 1년 후 검사에서도 살아 있는 게 확인되며 지난해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오산 기지를 포함해 총 10곳에 살아 있는 탄저균 표본이 전달된 게 확인됐다.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문제의 탄저균 표본은 민간 업체를 통해 배송됐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해당 표본은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장됐다고 밝혔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서울=장세정 기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