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한의협, 돈에 의업 파는 상인연합회 되려하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최근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등 중소상공인 단체들이 한의계와 연대해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한의사가 국민 건강이 아닌 이익단체들의 먹거리 창출을 위하고 있다고 반박에 나섰다.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19일 “수익을 위해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에게 엄중히 경고한다”며 “한의협은 정녕 한방 상인 연합회가 되려하는가”라고 입장을 밝혔다.

앞서 18일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와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 한국시민사회연합 등의 대표들은 18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허용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한의사 역시 국가가 인정한 의료인”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한의사 면허를 없앨 것이 아니라면 대한민국 법으로 인정한 의료인인 한의사가 환자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에 제한을 두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기자회견과 관련해 의협은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을 지극히 경제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논의의 본질을 벗어났다”며 “그동안 한의협이 요구해 온 현대의료기기 허용 문제가 환자 안전이나, 국민 편익의 문제가 아니라, 이익단체들의 먹거리 창출을 위한 것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한의사가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의협은 “현대의학과 한방은 서로 다른 고유의 패러다임과 특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경 철학, 인체에 대한 이해 및 접근방식부터 전혀 다르다”며 “현대 의료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경험과 임상을 바탕으로 의학적 판단이 뒤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 번의 실수가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들도 의대 졸업 이후 수년간의 수련과정을 거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의사에게 현대의료기기 사용을 허용한다는 주장은 의사교육과정과 의료제도 전반을 부정하는 처사라는 주장이다.

의협은 “한의사에게 현대의료기기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무면허 의료행위를 허용해 달라는 초법적인 발상”이라며 “일자리 창출이라는 상인연합회의 경제적 관점에만 주안점을 두고 정책이 추진된다면 의료체계에 대혼란과 갈등만을 초래할 것은 명약관화하다”고 꼬집었다.

더불어 중소상공인 단체들이 국민의 의료 선택권을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현행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는 이원화된 의료체계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이라며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은 한의사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고 못박았다.

또한 의협은 의료 일원화에 대한 공론화의 뜻을 밝혔다.

의협은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 문제는 이원화되어 있는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대승적 차원에서 의료일원화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만들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하게 요구하는 바”라고 전했다.

이어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를 일거리 창출로 생각하는 한방의 행태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며 “의료를 이익집단들이 먹거리 창출로 생각하지 못하도록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강구하여 이를 저지해 나갈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인기기사]

·닭고기 조리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함량 차이나 [2015/05/27] 
·국제성모병원 허위청구 폭로 직원, 20억원 요구 공갈범? [2015/05/28] 
·똥배 없애고 이두박근 만드세요 [2015/05/28] 
·의사들, 중재원 강제 자료 제출 요구안에 반발 [2015/05/27] 

오경아 기자 oh.kyeonga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