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은 필요 … 감정 상해도 할 일 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성환(左), 유명환(右)

22일 제주포럼에서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 핵심 인사인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유명환·김성환 전 외교부 장관과 참여정부의 마지막 외교부 장관인 송민순 전 장관이 모였다. ‘전직 외교부 장관 초청 간담회:한국 외교의 발전방향’에 참석한 이들은 한·일 관계에 대해 각기 다른 해법을 제시했다.

 사회를 맡은 천 전 수석은 “박근혜 대통령의 6월 방미 때 워싱턴에서 한·일 관계 출구전략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면 난처할 것 같다. 하지만 아무리 우리의 전략적 이익에 도움이 된다고 해도 아베 신조 내각이 하는 (역사 도발) 행태를 보면 한·일 관계 개선을 하고 싶다가도 마음이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지일파인 유 전 장관은 이에 “한·미·일 북핵 공조의 중요성, 중국의 부상 등 여러 상황을 보고 감정이 좀 상하더라도 국익을 위해 참고해야 할 일은 하자는 큰 그림 속에서 한·일 관계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 전 장관은 “정상회담 필요성엔 동의하지만 곧바로 양자 회담을 하는 것은 우리에게 부담이 크다”고 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노다 요시히코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는데 한·일 관계가 증진된 게 아니라 오히려 두 정상의 인식 차로 어려움을 겪었다. 주변의 압력이나 관련 국가의 관심 때문에 바로 한·일 정상회담을 하는 건 오히려 관계를 푸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은 “최근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한·일이 역사 문제에 대해 자제심을 발휘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했는데 이는 한국이 흥분해 있다는 뜻”이라며 “과거에 합의한 것을 다 뒤집은 쪽은 일본인데 한국보고 자제하라는 것은 미 국무장관이 해선 안 되는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 특별취재팀=강찬호·유지혜·정원엽, JTBC 정진우, 중앙데일리 김사라, 이코노미스트 허정연 기자 stoncol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