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언론 구조조정 박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경쟁력과 실력에 따라 언론계를 재편하라. "

중국이 신문.TV.라디오 등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개혁에 나섰다. 언론 매체를 '권력의 나팔수'로 활용해 왔던 공산당 지도부의 뜻이다.

중국의 언론.문화 분야를 총괄하는 리창춘(李長春) 정치국 상무위원은 당.정.군의 각급 기관과 언론매체의 관계를 재정비하도록 촉구했다. 경제특구인 선전(深)을 최근 돌아본 뒤 친(親)공산당 잡지 '구시(求是)'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다.

그는 "언론사를 기업집단으로 묶어 크고 강한 매체를 만들어야 한다"며 다섯 가지의 개혁 지침을 제시했다.

첫째는 신문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면서 각종 간행물을 과학적으로 계열화하라는 것이다. 중국 대륙엔 현재 2천여개가 넘는 신문이 난립해 관언(官言)밀착과 사이비 기자를 양산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몇년 안에 신문시장을 10여개의 그룹이 장악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지난해 9월 중국 최대의 신문사로 탄생한 '선전 보업(報業.신문업)집단'이 그런 사례다.

둘째는 당.정.군의 권력 기관이 신문을 발행하는 폐단을 없애라는 것이다. 권력기관이 산하에 신문사를 세워 돈.인력.행정기능이 뒤섞이는 바람에 누가 공무원이고 누가 언론 종사자인지 분간하기 힘든 현실을 질타한 것이다. 李상무위원은 "권력기관이 아니라 독자와 시장의 평가를 받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방송 매체의 통.폐합▶도서.음반 발행체제 현대화▶문화연출단체와 문예창작 분야의 개혁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이런 개혁이 서구식의 자유.독립 언론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보도지침.사전검열이 여전하고 이를 어긴 언론인은 가차없이 쫓겨난다.

후진타오(胡錦濤)국가주석은 지난 3월 하순 정치국 회의에서 "관(官)보다 민(民)을 더 많이 쓰라"고 주문했다. 공산당의 사상.정책을 제대로 선전하기 위해선 보통 사람들이 느끼는 현실 생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얘기다.

홍콩=이양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