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범죄정권' 발언 버시바우 대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논란을 일으키려던 게 아니었다. (북한 문제에 대한) 더 큰 그림을 얘기하고 싶었다."

'북한은 범죄정권(Criminal Regime)'이라고 지칭해 파문을 일으켰던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가 16일 해명에 나섰다. 외교통상부 출입기자단과의 오찬 간담회 자리에서다. 그의 '범죄정권' 발언이 우리 정부와 정치권의 유감 표명으로 이어지는 등 논란을 부른 지 9일 만이다.

그는 "북한의 범죄행위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 전략을 찾아보자는 것이었다"고 '범죄정권' 발언 배경을 설명했다. 북한의 범죄행위와 방지책을 이야기하고 싶었고, '범죄정권'이라는 말의 파장은 예상치 못했다는 얘기다. 그런 탓인지 그가 설명할 때 '범죄정권'이란 단어는 다시 입에 올리지 않았다. "정치적 발언에 대해 긍정적으로 봐달라"는 주문도 했다.

하지만 대북정책에 대한 강경 원칙론은 여전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북한의 불법활동과 인권탄압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미국뿐 아니라 다른 어떤 나라도 우려한다"고 했다. "우려하지 않는다면 아주 놀라운 정권"이라고도 했다.

6자회담의 걸림돌이 된 대북 금융제재 문제에도 기존 태도를 되풀이했다. 그는 "금융제재는 9.19 공동성명의 어떤 조항에도 언급돼 있지 않다"며 "법집행의 문제로 협상 대상으로 삼을 용의가 없다"고 손을 내저었다. 또 "지난 5차 1단계 6자회담에서 북측 대표들은 회담 직후 '미국이 금융제재에 대해 협상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는 식으로 발표했지만 안타깝게도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당시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북한이 불법활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이해를 돕기 위해 미국법 등에 대한 브리핑을 제안했을 뿐"이라며 "협상에서 신뢰감을 만드는 것은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금융제재에 대한 브리핑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6자회담이 열리는 가운데 회담(장) 밖에서 따로 시간을 내 (북한에) 브리핑을 하는 기회를 찾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