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시조와 현대성, 그리고 한국 시에 대해 알아 보렵니다. 시조가 지닌 전통성은 엄격한 룰(자수)이기 보다 시조가 지닌 자수의 응용성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 융통성을 십분 발휘할 때, 현대성마저 수용하게 되어 자연 시조로서 현대적 제양상을 고루 구사하게 되고 임상적인 오늘의 이미지, 오늘의 언어를 마음놓고 사용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시조에서 빠지기 쉬운 안이성에서 자연 벗어날 수가 있게 되지요. 이러한 현대성의 수용, 그리고 안이성에서의 탈피용 위해선 시조이기 이전에 시로서의 역량을 확보 해야만 합니다.
시가 된 이후에 시조가 되느냐 안 되느냐 하는 문제가 거론되어야 시조의 성공은 가늠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현대시조를 가능하다는 이야기지요 하기에 시조와 시는 동질의 것이라는 말은 적중하게 됩니다. 다만 시조가 지닌 리듬(자수율)은 현대시 보다. 훨씬 한국적이라는데 이의가 없습니다. 시조의 리듬은 오랜 기간 민족과 생활하면서 얻어진 소산이기 때문이지요.
여기엔 억지가 없습니다. 때로는 시조의 리듬을 무시하고 시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시는 분명 있는데 시조로선 실격인 작품도 더러 보아왔습니다. 때문에 현대성을 중시하고 충분히 수용은 하되 리듬과 룰(자수율)의 지나친 파괴(즉 시조가 지닌 융통성을 벗어 난 경지)는 시조의 파괴에 이른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해 두고자 합니다.
김복수의『모년 모월 모일』은 차분한 이미지가 성숙의 기미를 엿보게 합니다. 한때의 좌절을 벗의 엽서 한장이 일깨우고 있는데 두수째 종장 또한 매우 큰 안정감을 줍니다.
임재용의『수문 앞을 지나며』에서는 소리의 계속적인 변화와 순화된 처리에서 시를 빚는 법을 어느 만큼 잘 터득하고 있습니다.
김형묵의『아침·둥지』는 단수로서 그 나름의 눈이 새롭습니다. 중장과 종장에서 단수의 묘를 얻고 습니다.
정채준의『김매기』는 건강한 농군의 삶을 대하듯 싱싱합니다. 역시 중장과 종장이 돋보입니다.
김옥남『사월』도 경지에 들고 있습니다. 종장의 표현이 가능성을 엿보게 합니다.
이상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