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교 농지투기 규제|농수산부 농민 확인되는 사람만 살수 있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농경지가 도시 투기꾼이나 기업들에 자꾸 잠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 농민으로 확인
되는 사람만 농지를 살수 있도록 농지매매증명 발급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막상 도시계획구역의 녹지 내 알토란같은 농지는 농지매매증명이 없이도 사실상 자유롭게 매매되는 실정이다.
이 같은 일이 생기는 것은 도시계획법(제2조 및 87조)이 도시계획구역상 교통·위생·후생 등의 계획을 위해 공원·주차장 등과 함께 녹지에 대해서도 농지매매증명 발급제도의 적용을 제외하고 있는데서 생기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유휴자금이나 투기성자금이 농지를 찾아 몰려다니다가 개발여건과 투기효과가 일반농지보다 훨씬 큰 도시계획구역의 녹지 내 농지로 쏠리고 있는 것으로 농수산부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도시지역이나 도시근교지역의 농지에 대한 투기가 과열되고 있는데 대한 대책으로 농수산부는 ▲농지매매증명 발급제도를 철저히 실시, 농민 이외의 사람이 절대로 농지를 살수 없도록 강화하는 한편 ▲도시구역의 녹지 안에 있는 농지에도 매매증명발급제도를 적용토록 건설부와 협의, 도시계획관계법규를 개정할 방침이다.
도시계획구역은 주거지역·상업지역·공업지역·녹지지역 등으로 지정되며 녹지지역은 임야 등 자연 녹지와 전답 등 생산녹지로 구성, 이 지역으로 투기가 몰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82년까지 7년간만 보아도 농지감소면적은 8천5백 ha에 이르는데 남아있는 농지마저도 많은 부분이 부재지주의 손에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82년도 농수산부 통계에 따르더라도 전체 농경지의 22·3%인 48만 8천 ha가 대도시 또는 중소도시에 사는 부재지주에게 넘어가 농가의 46·4%가 이들로부터 땅을 빌어 농사를 짓고있는 형편이다.
농지매매 증명서는 이장이 농지를 사려는 사람이 농민이라는 사실을 확인, 읍·면장이 발급하고 있으며 이것이 있어야 농지매매가 가능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