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신주류 염동연씨 석방 집단서명 파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의 핵심 지지 세력인 민주당 신주류 의원.당직자 등이 나라종금 사건으로 구속된 盧대통령의 측근 염동연(廉東淵.민주당 인사위원)씨에 대한 재판부의 선처를 요구하는 내용의 탄원서를 보내기로 하고, 당내외 인사들을 상대로 서명을 받고 있어 파문이 일고 있다.

나라종금 사건과 관련해 구속영장이 청구됐었던 대통령의 또 다른 측근 안희정(安熙正.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씨에 대해선 당 밖의 친노(親盧)인사 등이 대규모 '시민변호인단'을 구성하면서 검찰 수사를 비난해 이 같은 사례들이 사법부와 검찰 독립에 대한 침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廉씨의 결백을 주장하는 석방 탄원서에 서명한 민주당 신주류 의원과 당직자 등은 23일 현재 1백여명이며, 이중 현역 의원은 김원기(金元基).김상현(金相賢)고문, 이상수(李相洙)사무총장, 신계륜(申溪輪).유재건(柳在乾)의원에다 개혁국민정당 유시민(柳時敏)의원 등 10명이다.

6월 廉씨에 대한 첫 재판을 앞두고 제출될 탄원서는 "나라종금 퇴출 로비 수사는 일부 언론의 왜곡된 보도와 야당의 정치 공세로 그 본질적인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廉위원에게 엄청난 고난을 안겨주고 있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여론재판은 안되는 만큼 재판부의 공정한 재판을 바란다"고 했다.

이에 앞서 지난 22일 김영대(金榮大)대통령 노동특보 내정자, 영화배우 문성근(文盛瑾)씨 등 盧대통령 측근을 비롯해 2백79명으로 구성된 '안희정 시민변호인단'은 기자회견에서 "검찰이 일부 언론과 야당의 여론몰이에 굴복해 安씨를 표적 수사하고 있다"며 安씨에 대한 선처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상희(韓相熙.법학)건국대 교수는 "검찰이 수사 중이거나 재판부가 심리도 하지 않은 사안에 대해 여당의 현직 의원 등이 탄원서에 서명하는 것은 사법부와 검찰에 대한 부당한 압력으로 비칠 수 있다"며 "부적절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