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배명복의 직격 인터뷰

건명원 기획한 서울대 배철현 교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배명복
배명복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오종택
오종택 기자 중앙일보 차장

인문학·과학·예술을 아우르는 21세기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설립된 건명원(建明苑)이 이달 초 문을 열었다. 1년간의 제1기 과정에 입학한 30명의 젊은이들이 매주 수요일 저녁 서울 북촌에 있는 건명원에 모여 4시간씩 토론식 수업을 받고 있다. 원장인 최진석(서강대·철학) 교수를 비롯해 배철현(서울대·종교학), 주경철(서울대·서양사학), 김성도(고려대·언어학), 김대식(KAIST·뇌과학), 김개천(국민대·공간디자인), 서동욱(서강대·철학), 정하웅(KAIST·물리학) 등 8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건명원의 기획자이자 산파역을 맡은 배철현(52) 교수를 지난 9일 북촌에서 만났다. 배 교수는 묵상(默想)과 컴패션(compassion·자비)을 21세기 리더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배철현 교수는 지식과 정보의 양으로만 본다면 “스마트폰 하나가 서울대생 3000명보다 똑똑하다”면서 “위키피디아에 없는 생각을 할 줄 아는 학생을 뽑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종택 기자]

-왜 ‘건명원’인가.

박 대통령 원한다면 청와대 가서 경연할 용의 있어

 “‘밝은 빛을 세우는 터전’이란 뜻으로 최 원장이 작명했다. 양(陽)과 음(陰)을 상징하는 해와 달이 만나 밝은 빛을 내듯이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젊은이들이 만나 마음껏 뛰놀며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운동장을 만들자는 취지다.”

 -참고한 외국 모델이 있나. 한국판 ‘마쓰시타 정경숙’이란 말도 있던데.

 “없다. 이대로 가면 한국은 제2의 아르헨티나나 필리핀이 될지 모른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8명의 교수가 의기투합해 만든 사숙(私塾)이다. 한국이 다음 단계에 진입하려면 새로운 교육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 인문교육의 아방가르드를 표방했는데.

 “인문교육은 과거의 답습이 아니라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다. 자기가 주인이 될 수 있는 교육이 인문교육이다. 비록 서투르다 할지라도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장(場)을 만들어주고 싶다. 각자가 주도적으로 지적인 독립을 도모할 때 한국은 다음 단계로 도약할 수 있다.”

 -인문학·과학·예술을 접목한 의도는?

 “혁신적인 생각은 이 세 가지가 삼발이처럼 떠받혀줄 때 나온다. 1920년대 영국의 과학자인 C P 스노는 『두 개의 문화(The Two Cultures)』란 책을 썼다. 그는 옥스퍼드의 셰익스피어 전문가와 대화가 안 통하는 데 큰 충격을 받았다. 자신은 햄릿에 대해 잘 모르고 셰익스피어 전문가는 미적분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이다. 이렇게 가면 영국은 망한다는 위기감을 갖고 스노는 이 책을 썼다. 한국이 다음 단계로 도약하려면 예술·인문학·과학에 두루 능통한 통섭형 인재가 많이 나와야 한다.”

 -입학생을 만 19~29세로 제한한 이유가 뭔가.

 “처음에는 15~25세로 하려고 했는데 미성년자의 경우 좀 문제가 있을 수 있겠다 싶어 19세부터 29세까지로 한 것이다. 19~29세는 새로운 생각을 갖고 실험하기에 딱 좋은 연령대라고 본다. 건명원에서는 뭘 가르치려는 게 아니다. 각자 자기 안에 있는 씨앗을 발아(發芽)시키는 걸 도와줄 뿐이다. 자극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제1기 입학생의 구성은?

 “스펙을 전혀 안 봤는데 뽑고 보니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이 반반이고 남녀도 반반이다. 직장인 중에는 현직 방송사 PD도 있고 일간지 기자도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직원도 있고 여군 장교도 있다. 탈북자도 있고 중국 학생도 있다.”

 -30명 뽑는 데 900명 넘게 지원했다. 학위 과정도 아닌데 이렇게 몰린 이유가 뭐라고 보나.

 “시대의 흐름을 학생들이 포착한 것 같다. 더 이상 무슨 대학 나오고 어느 직장 다니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자기 삶에서 가장 행복하고 의미 있는 일이 무엇인가가 젊은이들에게 중요한 시대가 된 것 같다. 그런 마음의 한 가닥을 건명원이 건드린 것 같다.”

 -건명원이 양성하고자 하는 인재의 롤모델은 스티브 잡스인가 버락 오바마인가.

 “원하는 인재상은 없다. 졸업하고 각자 자기가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으면 그만이다. ”

 -요즘 같은 취업난 시대에 건명원 식 교육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각자 행복한 길을 찾을 수 있으면 된다. 스스로 찾는 길이 가장 행복한 길이고 가장 풍족한 길이다. 젊은이들 스스로 그런 길을 찾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렸다고 본다. 건명원 과정을 마치고 1인 창업을 하든 식당에서 알바를 하든 뭘 해도 좋지만 자기 삶에 대한 로드맵은 자기 스스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라틴어와 한문으로 된 원전 강독도 한다는데 요즘 같은 세상에 그게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1000년 동안의 베스트셀러는 고전이고 2000~3000년 동안의 베스트셀러는 경전이다. 고전이든 경전이든 그것이 오늘날까지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유는 그 안에 뭔가 울림을 주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그걸 직접 느끼게 해주고 싶어 원문으로 고전을 가르치는 것이다. 고전을 공부하는 것은 조그만 기도방에 혼자 들어가는 것과 같다. 거기서 위안을 얻기도 한다.”

 -한국 대학의 제일 큰 문제점은?

 “시대의 요구를 포착해 선도하는 힘이 좀 부족한 것 같다. 옛날에 공부한 내용을 교수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시대는 끝났다. 스마트폰 하나가 서울대생 3000명을 합한 것보다 더 똑똑하다. 3000명이 아는 것보다 많은 정보와 지식이 그 안에 들어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우리는 많이 외운 학생을 뽑고 있다. 위키피디아에 없는 생각을 할 줄 아는 학생을 어떻게 뽑고 어떻게 자극할까 하는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

 -리더에게 묵상이 왜 중요한가.

 “생각한다는 의미의 히브리어 ‘샤아르(sha’ar)’는 원래 성으로 들어오는 사람을 성문 위에서 지켜본다는 뜻이다. 성문 안으로 들어가는 나의 모습을 제3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묵상을 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나를 보는 것이며 나로부터 빠져나와 다른 내가 되는 것이다. 즉 ‘엑스터시(ecstasy)’다. 흔히 황홀경으로 번역되지만 사실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상태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엑스터시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세르반테스를 공부하는 것은 돈키호테의 대사를 외워 자랑하려는 게 아니라 세르반테스가 살았던 16~17세기 스페인 사람의 입장에서 나를 보기 위해서다. 내가 3000년 전의 수메르 쐐기문자를 공부한 것은 지리적·시간적으로 전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나를 보는 연습을 하기 위해서다. 공부와 마찬가지로 묵상도 결국 나를 없애기 위한 수양이다. 묵상을 하면 다른 사람과 연결돼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생각이 깊지 못하면 오히려 이기심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게 돼 독선에 빠지고 만다.”

 -대부분의 사람이 독선에 빠지는 것 아닌가.

 “그래도 리더는 그래서는 안 된다. 다양한 옵션과 상황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긴급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가를 보면 그 사람의 능력과 인격을 알 수 있다.”

 -지도자에게 컴패션은 왜 중요한가.

 “모든 철학과 종교에서 최고의 덕목은 컴패션이다. 컴패션은 다른 사람의 슬픔을 내가 슬퍼하는 것이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잠깐 흘리는 눈물은 악어의 눈물이다.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달랐다. 파리 소르본대에서 철학과 신학 박사 학위를 받은 슈바이처는 취리히 시내를 걷다가 프랑스령 가봉에서 어린이들이 의사가 없어 죽어간다는 뉴스를 신문 가판대에서 봤다. 26세 때였다. 그는 의대에 편입해 6년 만에 의사가 됐고 가봉에서 일생을 보냈다. 이게 진짜 눈물이고 컴패션이다. 나와 상관없는 아프리카 어린이들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처럼 느낀 것이다. 리더는 다른 사람의 아픔을 자기의 아픔으로 읽는 능력과 촉이 발달한 사람이다. 그래야 리더에게 카리스마가 생긴다. ”

 -리더로서 박근혜 대통령의 문제점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보나.

 “그렇다고 본다. 그와는 별개로 내가 제일 보기 싫은 건 장관들이 국무회의에서 받아 적는 것이다. 왜 국무회의에서 질문을 하고 토론을 하는 지적인 대화가 이뤄지지 않는가. 토론을 하는 것은 서로 의견을 바꾸기 위해서다. 대화로 생각이 바뀌는 것은 위대한 것이다. 말한 내용을 받아 적기나 하고 있으니 나라가 제대로 굴러가겠는가. 국무회의는 유기체처럼 살아 움직이는 자발적인 공간이어야 한다.”

 -과거 임금에게 강론했던 것처럼 박 대통령을 위해 ‘경연(經筵)’을 할 용의가 있다고 했는데.

 “그렇다. 대통령과 국무위원을 위해 일주일에 한 번씩 청와대로 찾아가 강의할 용의가 있다. 청와대가 원한다면 건명원 이사장과 원장 및 다른 교수들과 진지하게 상의해보겠다.”

 -그들에게 뭘 가르친단 말인가.

 “뭘 가르친다기보다 깊은 성찰을 통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주고 싶다. 100년 전만 해도 미국은 별 볼일 없는 나라였다. 그러나 일련의 리더들이 깊은 성찰, 즉 묵상을 통해 미국식 민주주의와 사회 시스템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전기를 만들었다. 생각을 소프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신을 단련하는 자세가 리더에게는 중요하다.”

 -박근혜 정부 4대 국정지표 중 하나가 문화융성이고, 그걸 통해 창조경제를 구현하겠다는데.

 “발상은 좋은데 어떻게 풀어가느냐가 중요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보기에 한국이 내세울 수 있는 최고의 문화 상품은 훈민정음이다. 페니키아나 그리스의 알파벳보다 훨씬 뛰어나다. 인간이 낼 수 있는 모든 소리를 기록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알파벳 시스템인 훈민정음을 더 연구를 해보면 어떨까 싶다.”

 -어떤 나라가 위대한 나라인가.

 “위대함의 씨앗은 누구에게나 다 있다고 본다. 농부도 위대할 수 있고 구두수선공도 위대할 수 있다. 땅을 사랑하고 새싹이 돋아나는 신비감에 만족하며 행복하게 사는 농부는 위대한 농부다. 위대함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위대한 개인이 모여 위대한 나라를 만든다.”

글=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사진=오종택 기자

배 교수는 …

1962년 8월 서울 출생. 81년 경희고 졸업. 88년 연세대 신학과 졸업. 91년 미국 하버드대 신학대학원 졸업. 94년 하버드대 문과 대학원 석사. 2001년 하버드대 박사(고전문헌학). 2003년 서울대 인문대 종교학과 교수. 2010년 서울대 그리스·로마연구소장.

[인터뷰 후기] “날 위한 시간만큼 소중한 것은 없어”

묵상과 컴패션은 배 교수가 제시한 리더의 조건이다. 그는 지난해 4월 모 대기업 그룹 임원들을 상대로 한 인문학 특강에서 두 가지를 화두로 던졌다. 깊은 성찰을 통해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줄 아는 지도자가 남의 아픔을 자기의 아픔으로 느끼는 컴패션, 즉 자비심도 갖게 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런 리더가 위대한 기업을 만들고, 위대한 나라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 주장에 공감해 연락을 취했고, 결국 인터뷰까지 하게 됐다. 때마침 그가 기획하고 주도해 만든 건명원이 막 문을 연 터라 인터뷰의 초점은 자연스럽게 건명원에 맞춰졌다. 40여 년을 단추를 만드는 한 우물을 파부(富)를 일군 오황택 두양문화재단 이사장이 사재를 출연해 만든 사숙이다. 지난 4일 개원식과 함께 첫 수업을 했다. 북촌의 한옥한 채를 리노베이션 해 교사(校舍)로 쓰고 있다.

 신학에서 출발한 배 교수는 고전문헌학으로 전공을 바꿔 가며 13년을 하버드에서 보냈다. 2000년 귀국해 서울에서 살았지만 1년 전 경기도 가평으로 거처를 옮겼다. 조그만 집도 짓고 있다. 출퇴근이 좀 불편해도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는 시간만큼 소중한 것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