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입 수능, 지난해 비해 어려워질 전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대입(2016학년도)의 수능 수학은 만점자가 속출했던 지난해에 비해 어려워질 전망이다. EBS 교재에서 지문을 그대로 옮겨다 쓰는 수능 영어 문항도 줄어든다.

수능 개선안 위해 구성된 ‘수능개선위원회(위원장 김신영)’는 17일 오후 3시 서울 서초동 서울교대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수능출제오류 개선 및 난이도 안정화 방안을 공개했다. 교육부는 이 시안을 토대로 의견 수렴을 거쳐 3월말 개선 방안을 확정하고 이를 6월 모의평가부터 적용한다.

수능개선위원회는 이날 밝힌 시안에서 “수능의 대입 전형요소로서의 성격을 고려하여 적정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을 출제하는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영역별 만점자 비율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실력이 아닌 실수 여부로 등급이 결정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사상 최악의 물수능’으로 꼽혔던 지난해 난이도 조절 실패를 염두에 둔 것이다. 지난해 수준별 시험으로 치뤄진 수능 수학 B형은 만점자가 응시자의 4.3%에 이르렀다. 때문에 입시업체 등에선 “올해 수학은 지난해보다 다소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시안엔 EBS 교재의 영어지문 연계 방식을 재검토하는 내용도 담겼다. EBS 교재의 영어 지문을 그대로 출제하는 방식 때문에 수험생이 지문의 해석만을 암기하는 부작용 때문이다.

수능개선위원회는 영어 지문을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3가지 안을 제시했다. ▶ 2017학년도 수능까지는 현행 방식을 유지하는 방안 ^ EBS 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활용하는 문항 비율(현행 70%)을 올해 수능에선 50%, 내년 수능에선 30%로 줄이는 방안 ▶ 해석 암기로 풀 수 있는 ‘지문의 목적, 주장, 주제 찾기’,‘지문과 일치되는 내용 찾기’문항에선 EBS 지문 대신 다른 지문을 사용하는 방안 등이다. 위원회는 그러나 영어 지문 활용 방식을 제외한 타 교과의 EBS 교재 연계는 미리 예고한 대로 2017학년도 수능까지는 유지하자고 제안했다.

출제ㆍ검토과정의 부실에 대한 개선안도 포함됐다. 시안에 따르면 수능 검토위원장을 외부인사로 별도로 선임하고, 기존 교사 위주의 검토진에 교수ㆍ박사급 평가위원을 과목당 한명씩 배치한다. 수능 출제진과 검토진을 분리해, 검토 과정의 내실화를 꾀한다. 출제 문항에 대한 이의심사를 강화하기 위해 ‘이의심사위원회’에 출제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 인사를 과반수로 늘린다. 이밖에도 ▶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한문의 출제기간을 2일씩 확대하고 ▶ 사탐ㆍ과탐의 출제인원을 과목 당 1명씩 증원하고 ^ 수능 검토위원의 문항점검 리스트를 보완하고 사전워크숍도 강화키로 했다.

출제기간 및 인원도 보강된다.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ㆍ한문영역의 출제기간은 2일씩 확대하고, 사회탐구 및 과학탐구 영역의 출제인원은 현재의 4~5명에서 5~6명으로 늘어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한 시안은 출제 오류 개선과 난이도 안정화에 중점을 둔 것”이라며 “전체 대입전형과 연계된 중장기 수능 개선방안은 4월 이후 본격 논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인성 기자 guch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