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 '얼굴인식 결제' 세계 최초 도입할 듯…마윈 직접 시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마윈 알리바바 회장. [사진 중앙포토DB]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가 ‘얼굴인식 결제 방식’을 알리페이에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지문인식 본인 인증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얼굴 인식 결제는 알리바바가 최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은 15일(현지시간)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전자통신박람회(CeBIT)2015 개막식 기조연설 무대에 올라 알리바바의 전자결제 플랫폼인 알리페이에 얼굴인식 기술을 적용해 물건을 쇼핑하는 과정을 직접 시연했다.

마 회장은 세빗박람회장에서 판매중인 세빗 기념우표를 중국에서 주문할 경우를 가정하고 직접 스마트폰으로 얼굴인식 결제를 보여줬다. 마 회장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알리페이 결제 화면을 띄우고 구매 버튼을 누르자 알리페이 앱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화면이 등장했다. 사전에 등록된 마윈 회장의 얼굴과 현재 스마트폰 전면카메라 앞에 있는 얼굴을 스캔한 결과를 대조해 승인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법으로 마 회장은 본인인증을 마친 후 20유로 결제에 성공했다. 마 회장은 이 우표를 현장에 있던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게 전달해 청중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 그는 “이렇게 결제하면 중국에서 (이 우표를) 주문해도 6일 만에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알리바바는 알리페이에 이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적용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마윈 회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세빗 2015 주제인 ‘디!코노미(D!conomyㆍ디지털과 경제의 합성어)’에서 D를 ‘디지털’이 아닌 ‘데이터’로 해석해 주목을 받았다. 그는 “대부분의 인터넷 기업들은 3년 이내에 망한다”며 “그래서 구글, 페이스북, 알리바바 같은 대형 IT기업들이 3년 후는 물론 30년 뒤를 걱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IT 기업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데이터 이코노미’가 메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윈 회장은 IT 기업들은 미래 C2B(소비자→기업) 시장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맞춤형 상품을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마윈 회장은 애플을 예로 들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유연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업체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