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근본을 생각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과학기술교육의 강화는 이 시대의 주제가 되고 있다.
80년대 고도산업사회화와 과학기술선진화를 과제로 안고 있는 우리로선 그 주제는 일종의 지상명령처럼 인식되기에 이르고 있다.
컴퓨터·반도체·유전공학 등 첨단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는 나날이 가속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 우리는 새로운 첨단과학기술을 습득, 응용한 산업기술로 나라의 경제발전을 이룩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과학입국」을 통한 선진국화야말로 국제적인 경쟁이 더욱 가열하고 있는 이 시대의 현실에서 우리가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한 가닥 활로임이 분명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선진화의 기초적 여건들은 아직 성숙되지 않고 있으며 정책적 뒷받침은 미흡한 상황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과학기술의 중요성은 흔히 강조되고 정부의 과학기술 진흥시책들은 계속 진행돼 온다고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그 핵심이 될 과학교육은 별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유능한 청소년을 과학 인재 화하는 사회풍토의 조성에서부터 학교나 사회에서의 기초적인 과학교육기반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과학교육은 실험 실습을 위주로 한 탐구교육이 기본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성행하고 있으며, 대학입시를 비롯한 여러 제도들이 그 같은 비리를 더욱 조장하고 있다.
실험실습 기재가 미비 된 것은 두말할 것도 없고 과학교사의 활동할 여지를 주지 않고 있으며 과학서 편성 자체도 문제가 되고 있다.
모름지기 과학교육은 학생들에게 과학 하는 정신과 생활의 실제에서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주는데 있다.
그렇건만 학교교육을 포함한 우리의 과학교육 환경은 청소년의 과학 하는 마음을 배양하는데 거의 무력한 상황이다.
제대로 기능 하는 과학박물관이나 과학관 혹은 과학실험실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 그 실례다.
최근에 이르러 정부가 초·중등교육에서 과학기술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잇다는 사실이 고무적일 뿐이다.
84년 중에 국민학교의 실험실습 기개를 확충하는데 30억 원을 투입하고 고교의 고학교육도 배가된다는 계획도 있다.
컴퓨터와 전자오락의 보급으로 많은 청소년들이 과학적 실험실습에 전보다는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초·중등 교육에서 과학과 수학과목의 교육을 강화하고 그것을 실효화 할 수 있는 예산을 확충하는 일이다.
대학을 비롯한 고등교육 연구기관에 대한 연구투자는 물론 더 절실하다.
다행히 올해 정부는 기초과학의 계획적 육성을 위해 1천2백만 달러의 차관을 도입해서 이공계대학과 대학원생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또 91년까지 3만 명 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급과학인력을 조직적으로 양성, 수급하기 위한 장기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계획에도 기본적으로 예산의 문제가 다시 제기된다.
82년에 우리의 연구개발비는 모두 7억8백50만 달러로 전체GNP의 1.09%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82년 일본의 연구 개발비 2백78억 달러가 GNP의 2.44%이었다는 사실과 현저한 대조를 이룬다.
더욱이 미국의 2.53%나 서독의 2.66%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수준이다.
다만 다행스러운 것은 이런 현실에 자극 받아 정부가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수정안에서 86년까지 GNP의 2%까지 과학기술 투자를 확대하려고 나선 사실이다.
그러나 고급인력을 수급하기 위한 계획에서 기초과학교육을 강화한다는 사실에 대해선 좀더 깊은 검토가 있어야겠다.
왜냐하면 기초과학연구는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그 과정이 너무 안 역하게 계획, 처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기초과학연구는 기본적으로 초·중·고 교육에서 과학교육이 충실해야 한다는 전제 위에 서야하며 둘째로 그것은 장기적 과학발전계획과 연관돼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의 과학 교육방향도 조정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미국이 기초자연과목 39%, 기초전문과목 22%등 기초에 61%의 중점을 두는 창조형 공학교육을 하고, 반대로 일본은 전문과목에 64%를 치중하는 기술소화형 공학교육을 하고있는데 우리는 그 양자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다.
게다가 실험 실습시설도 충분치 못한 현실에서 공학계 학생들에게 인문사회과목을 필요이상 많이 부과하고 있는 것이 우리 대학과학 교육의 맹점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과학기술 선진화의 과제 앞에서 정부가 먼저 과학교육의 문제를 심각히 재검토해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