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韓·美합의 실천하도록 밀어줘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한.미간의 신뢰와 정상간 우의를 다진 노무현 대통령의 방미 결과를 놓고 안도와 불만, 지지와 반발이 교차하고 있다. 미국과의 빈틈없는 공조하에 북핵사태를 넘겨야 한다는 대다수 국민은 盧대통령의 방미성과를 높이 평가, 지지하고 있다.

반면 한총련 등 일부 진보성향의 단체와 盧대통령의 일부 지지층, 심지어 민주당의원 일부까지 '굴욕외교'라고 비판하고 있다. 盧대통령은 이러한 비판에 흔들림 없이 한.미 정상간 합의를 실천해야 한다. 국민도 정파와 이념적 차이를 넘어 盧대통령의 실용주의적인 안보정책에 힘을 실어 주어 그가 이 험악한 북핵위기 사태를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

대통령 취임 이전 '반미적 성향'도 내비쳤던 盧대통령이 방미기간 중에 보인 변화에 대해 일부 지지층은 일종의 배신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것이 盧대통령이 안고 있는 어려움이자 고민일 수 있다. 그렇다고 '굴욕외교'니 '저자세외교'니 하는 비난에 흔들려 좌고우면해서도 안된다.

盧대통령도 말했듯이 비주류로 있을 때의 생각 및 처신과, 나라와 국민의 안위를 책임진 국가 수장으로 있을 때의 그것과는 현격한 차이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그런 측면에서 다수 국민은 盧대통령이 이제야 국가 최고지도자로서 국가안보에 대한 인식과 책임에 눈을 떴다고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盧대통령은 한.미 정상간 합의를 더욱 발전적으로 진전시켜 북핵사태로 빚어진 안보위기에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적어도 안보문제에 관한 한 올바른 방향을 잡은 盧대통령을 전폭 지지.성원해야 한다. 야당이 '굴욕외교'를 주장한 일부 여당의원들을 꾸짖고 비난하고 나선 것은 안보문제에 초당적으로 대처하려는, 오랜만에 보는 성숙한 자세다.

정부도 안보.군사문제엔 야당에 수시로 정보를 제공, 협의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이런 문제의 대처는 국력결집이 최선책이다. 특히 우리의 국론분열을 집요하게 획책하는 북한을 상대하는 문제에선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