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여성, '허리-엉덩이' 비율 높으면 심뇌혈관질환 '빨간 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값, 허리-엉덩이둘레 비율(WHR) 지수가 높은 폐경여성은 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것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고려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류혜진 교수팀은 2012년 4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여성 442명의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WC)의 3가지 인체측정지수로 심혈관질환의 주요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 발생여부를 연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여성 442명중 폐경 전 여성(209명)에서는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WC) 3가지 수치가 모두 동맥경화도와 비례하는 반면에 폐경 후 여성(233명)에게는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측정지수만이 상관관계를 가졌다.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표적인 지표인 혈관 벽의 두께 수치인 경동맥내중막두께(CIMT)와 비교 분석한 결과, 폐경 후 여성의 경우 체질량지수(BMI)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이 높으면 경동맥내중막두께(CIMT)가 두껍다는 결과도 나타났다.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혈관의 벽에 노폐물이 쌓이며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혈관이 좁아지는 증상이다. 좁아진 혈관은 심장이나 뇌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차단하거나 아예 막히면 뇌졸중, 심근경색과 같은 중증 질환을 야기한다.

고려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류혜진 교수는 “폐경 후 여성들은 기초대사율이 감소하고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면서 복부 내장지방이 급격히 늘고, 둔부, 대퇴부 피하지방은 감소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단순 체질량지수가 아닌 허리-엉덩이둘레비율이 좀 더 정확하게 폐경여성의 죽상동맥경화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류교수는 “허리-엉덩이둘레비율은 쉽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허리-엉덩이둘레비율 수치가 높은 폐경 후 여성은 미리 심ㆍ뇌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교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체측정지수 정상 수치>

신체측정지수

정상 범위

허리-엉덩이둘레비율(WHR)

0.75~0.85

체질량지수(BMI)

18.5~25

허리둘레(WC)

85cm

[인기기사]

·놓치고 싶지 않은 서남의대…명지병원 ‘좌불안석’ [2015/02/12] 
·동네 소아과 의사들, 달빛어린이병원 집단 반발 [2015/02/12] 
·No.343 성형수술 사고, 쇼닥터 논란…정부 ‘메스’ 들었다 [2015/02/12] 
·복지부 장관, 한의계 달래기 “국민 입장에서 판단할 것” [2015/02/12] 
·화순전남대병원 조혈모세포이식술 '전국 최고 수준' [2015/02/12]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