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개발 주로 과천서 다뤄져 구체적인 보고 청와대 안 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자원외교 국정조사에서 야당의 표적은 이명박(MB) 전 대통령을 비롯한 MB 정부 핵심들이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선 이 전 대통령까지 청문회에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결국은 여야가 협상할 문제지만 출석할 가능성은 아주 작을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의 한 핵심 참모는 “자원개발은 주로 ‘과천’(부처나 공기업이란 의미)에서 다뤄졌고, 구체적인 보고가 ‘삼청동’(청와대)으로 오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당시 청와대는 자원외교 진행 과정 하나하나까지를 알지 못했다. 이 전 대통령은 닫힌 꼭지를 따는 역할 정도만 했고, 공기업의 디테일한 업무는 직접 챙기지 않았다”(김두우 전 홍보수석), “청와대가 컨트롤타워처럼 휘젓고 다녔다는 건 한마디로 ‘오버(over)’다. 관련 공기업이 앞장섰고, 청와대는 큰 틀에서 지원하는 식이었다”(이동관 전 홍보수석)는 주장 등이 같은 맥락이다.

 다음달 2일 출간될 예정인 이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도 전체 800쪽 분량 중 자원외교 관련 부분은 3쪽 정도뿐이라고 한다. 자원외교를 추진하게 된 배경 등을 담담히 밝혔고, 논란이 될 만한 대목은 없다고 측근들은 전했다.

 ‘자원외교 특사’였던 이상득 전 국회 부의장도 국회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전 부의장 측 관계자는 야당의 청문회 증인출석 요구에 대해 “정치공세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2010년 볼리비아를 방문한 이 전 부의장에게 국내 기업들이 뒷돈을 챙겨준 의혹이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선 “터무니없는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과거 ‘왕 차관’으로 불리며 자원외교에 열성적이었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대해서도 야당은 ‘반드시 출석해야 할 인물’로 규정하고 있다. 박 전 차관은 지난해 11월 13일 출소한 직후 지인들에게 “국회든 어디든 나가서 당당하게 밝히고 싶을 정도로 난 떳떳하다”고 밝혔다. 그 태도는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한 지인은 “박 전 차관은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자료 등을 검토하며 청문회 출석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친이명박계 의원으로 국정조사 특위 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박 전 차관은 해외 자원개발 때문에 구속·수감된 게 아닌데도 잘못 알려져 있다. 바로 새정치연합의 정치공세 때문”이라고 야당을 비판했다.

◆특별취재팀=정치부 서승욱·현일훈·정종문 기자
경제부 박진석·이태경·심새롬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