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지난해 사상최대…어떤 물품 들여오나 봤더니

중앙일보

입력

해외직구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구매국가는 물론 품목도 더욱 다양해졌다. 관세청은 전자상거래를 통한 해외직구 물품 수입이 지난해 1553만 건에 15억4000만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39%의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다만 최고 57%(2011년)까지 빠르게 증가하던 추세는 2012년 이후 점점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73%)에서 가장 많이 수입됐고, 중국(11%), 독일(5%), 홍콩(4%), 영국ㆍ일본(각 2%), 프랑스ㆍ뉴질랜드(각 1%) 등 8개 국가에서 수입되는 물품이 전체의 99%를 차지했다. 2010년에 19개였던 거래국가(연 100건 이상 수입국가 기준) 수는 지난해에 38개로 늘어나 거래국가가 더욱 다양해졌다.

1회 당 구매금액은 50달러 초과 100불 이하가 37%로 가장 많았고, 50달러 이하가 25%, 100달러 초과 150불 이하가 27%, 150달러 초과 200 달러 이하가 8%였다. 즉, 총 구매금액이 200달러 이하인 경우가 전체의 97%로서, 국내 소비자들은 대부분 소액물품 위주로 구입하고 있다. 직구 물품이 대부분 소액이다보니 이 가운데 96%인 1484만 건은 면세통관됐다. 과세통관은 4%(69만 건)에 불과했다.

1000달러 초과 고가물품의 경우 전체의 0.3% 정도로 비중은 적었으나, 총 5만 2000 건 규모로 5년 전에 비해 767% 증가하면서 전체 해외직구 증가 수준(3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재 관세청 특수통관과장은 “이런 추세는 최근 세금을 내더라도 가격차이ㆍ제품 다양성으로 인해 텔레비전, 휴대폰, 전열기기, 자전거, 운동기구, 의류, 신발, 시계 등 다양한 고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전체 품목별로는 의류(19%)가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 비타민제ㆍ항산화제ㆍ오메가-3 같은 건강식품(14%), 신발(13%), 기타식품(11%), 화장품(11%), 핸드백ㆍ가방(8%), 완구인형(4%), 가전제품 (2%), 시계(2%), 서적류(1%)의 순으로서 이들 품목이 전체의 약 85%를 차지했다. 관세청은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신속통관 및 통관정보 공개 등 지원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불법 수입을 차단하기 위해 전량 엑스레이(X-ray) 검사, 배송지 결과 분석, 개인통관고유부호 사용 권고 등 감시단속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김동호 선임기자 dong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