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이 쑥!] 취업·대입에 유리…우수 특성화고 가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한국애니메이션고=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학교로 전공은 만화창작, 애니메이션, 영상연출, 컴퓨터게임제작 등 네 가지다. 전국 단위로 모집하며 지난해 평균 경쟁률이 5.3대 1로 높은 편이었다. 올해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원서를 접수한다. 내신성적(40%)과 실기(50%), 면접.가산점(10%) 등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전문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특성화고가 각광 받고 있다. 일식 조리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 [한국조리과학고 제공]

전공수업은 주로 5~7명 단위의 팀을 꾸려 함께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관련 업체와의 연계 교육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한다. 올 2월 졸업생 중 53명은 성균관대.연세대 등 4년제 대학에 진학했다. 세종대.건국대 등의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학과뿐만 아니라, 각 대학의 시각디자인과도 대부분 동일계열로 인정해준다. 수업료는 일반계 고교와 비슷하고, 기숙사비는 한 달 28만원이다. 이 학교 윤병권 애니메이션 부장은 "대학보다 더 좋은 최첨단 기자재를 갖추는 등 우수한 시설을 자랑한다"며 "그림에 어느 정도 소질이 있고, 내신 성적이 중위권 이상이라면 도전할 가치가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부산자동차고=자동차 특성화 고교로 남학생만 선발한다. 자동차과.전자기계과.자동제어과가 있으며 신입생을 공통계열로 모집한 뒤 2학년 때 전공을 나눈다. 지난해 경쟁률은 3.2대 1이었다. 이 학교 학생들은 현장 기술교육을 통해 전교생이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는 게 특징이다.

올해 졸업자 176명 중 62명이 르노삼성이나 현대자동차 등 관련 업체에 취업했고, 나머지 114명은 4년제나 2년제 대학에 진학했다. 이 학교 이경호 교사는 "자동차는 물론 기계.금속.재료공학 관련 학과에서 동일계열 특별전형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등록금은 일반계 고교와 같지만, 전교생의 절반 이상이 학비 감면이나 장학금 혜택을 받는다. 전국에서 학생을 모집하지만 기숙사는 운영하지 않는다. 원서는 11월 29일부터 12월 1일까지 접수한다.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에 대해 서류전형을 한 뒤 면접과 신체검사를 통해 선발한다.

◆한국조리과학고=조리 부문 특성화 학교 중 가장 먼저 연 학교로 경기도 시흥시에 있다. 지난해 경쟁률이 4.8대 1이었으며, 합격자 내신 성적도 상위 30~40% 정도로 높다.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원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입학전형은 내신성적 200점, 면접 80점을 반영하고, 외국어 우수자나 가업 계승자에게는 10점씩의 가산점을 준다. 정원찬 교무부장은 "면접에서는 조리가 적성에 맞는지, 조리를 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를 주로 살핀다"고 말했다.

수업은 일반교과와 전문교과가 반반씩이다. 롯데호텔 등 일류 호텔의 과장급 요리사들이 돌아가며 시간강의를 맡는 등 산학 연계 교육이 이뤄진다. 졸업생 중 대학 진학과 취업의 비율은 6대 4 정도다. 동일계 특별전형 대상이 되는 학과로는 경희대 호텔관광학부 등이 있다. 사립이며 학비는 분기당 90만원 정도로 일반계 고교의 두 배 수준이다. 기숙사비는 월 30만원이다.

◆한국경마축산고=국내에서 유일한 마필관리 특성화 고교로 전북 남원에 있다. 24명의 학생을 전국단위로 모집한다. 내신성적과 면접이 50%씩 반영되며 원서접수는 이달 14일부터 20일까지다. 교육이 철저히 전공에 집중돼 있다. 3학년 때는 마사회나 목장 등에서 실습할 기회도 주어진다. 일주일에 한 번씩 근처 목장에 가서 1박2일 동안 체험학습을 하는 등, 교육과정 이외에도 실습교육이 꾸준하게 이뤄진다. 이에 힘입어 올 초 졸업한 1기생들은 마사회나 민간 목장 등 전공 관련 분야에 모두 취업했다. 우청화 마필담당 교사는 "경마산업이 계속 발전하고 있어, 졸업생에 대한 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화려함을 보고 들어오는 학생들은 중도탈락한다"며 "말 목장을 운영하거나 말 훈련사가 되겠다는 등의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업료는 전액 무료이고 기숙사비는 한 달 12만원이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