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법제처장도 쩔쩔맨 법률용어 국감 '돌발퀴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삭도의 뜻이 뭡니까?""케이블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몽리의 뜻은 뭡니까?""…."

10일 법제처에 대한 국회 법사위의 국정감사에서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은 돌발 퀴즈를 내 김선욱 법제처장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노 의원은 법전에 아직도 너무 어려운 법률용어가 많다며 김 장관에게 모두 10개의 한자 법률용어에 대한 뜻을 물었다. 김 처장은 이 중 감사원법에 나오는 장리(掌理.일을 맡아서 처리함)와 교통안전법에 등장하는 삭도(索道.케이블카 등의 케이블), 정려(精勵.부지런히 일함) 등 세 문제를 맞혔다.

김 처장은 그러나 몽리(蒙利.저수지 등 수리시설의 혜택을 입음), 분마(奔馬.급히 뛰는 말), 결궤(決潰.둑이 무너짐), 호창(呼唱.높은 목소리로 부름), 저치(貯置.저축하여 둠) 등 나머지 문제는 바로 답을 하지 못했다. 특히 이날 문제 중 형사소송법의 전촉(轉囑.다른 기관에 위촉함)과 민법의 위기(委棄.위임하고 포기함)는 아예 국어사전에도 없는 용어였다.

노 의원이 이날 즉석 퀴즈를 낸 이유는 법제처에서 제출한 법률한글화법이 단순히 한문에 한글음을 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법제처 장관이 문제를 틀린 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일"이라며 "오늘 퀴즈를 풀면서 장관이 느낀 고충은 바로 일반 국민이 평소에 느끼는 고충"이라고 지적했다. 법대 교수 출신의 법제처장조차 모르는 법률용어를 국민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노 의원은 "법률한글화 사업은 단어에 음을 다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구거(溝渠)는 개울로, 정려는 노력으로 바꾸는 식으로 단어 자체를 실생활에 쓰이는 쉬운 말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 처장은 "법무부와 협조해 한문을 단순히 한글로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언어로 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국어 전문가를 채용해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