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아베의 새 담화는 과거사 사죄 담아야"

중앙일보

입력

미국 국무부가 5일(현지시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예고한 전후 70주년 담화를 놓고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계승해야 한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아베 총리가 전날 연두 회견에서 “지난 대전에의 반성, 전후 평화 국가로서의 발자취 등을 새로운 담화에 담을 생각”이라고 밝힌 데 대해서다.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아베 총리가 전후 70주년 담화에서 일본의 행위를 반성하는 담화를 낼 예정인데 이에 대한 입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과거 무라야마 전 총리와 고노 전 관방장관에 의한 사죄는 이웃 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일본의 노력에서 중요한 장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이미 아베 총리가 밝힌 언급을 살펴 봤다”며 “여러 차례 밝힌 대로 우리는 일본이 대화를 통해 우호적인 방법으로 역사를 둘러싼 문제를 이웃나라들과 해결하기를 권한다”고 밝혔다.

국무부 대변인이 공식 논평에서 언급한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는 모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대한 사죄가 담겨 있다. 1995년 8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가 발표했던 담화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 대해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한다”고 명시했다. 특히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의 담화는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을 인정한 내용이 담겨 있지만 아베 정부 들어 일본에선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부인하며 고노 담화를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젠 사키 대변인의 답변은 아베 정부에 대해 일제 침략을 사과하고 위안부의 강제성을 인정한 과거 정부의 담화를 훼손하는데 반대한다는 입장을 우회 언급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젠 사키 대변인은 그러나 “담화에 특정한 표현을 넣도록 권고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선 “(일본 정부가) 이미 밝힌 내용을 넘어 얘기할 것은 갖고 있지 않다”며 답변을 피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아베 내각은 무라야마 담화를 포함한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계속 언급해 왔다”며 “미국도 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아베 총리의 담화 발표 시기는 아직 미정이며 적당한 시점에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도 아베 총리의 새 담화를 놓고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향후 ‘아베 담화’에 실제 사죄의 표현이 담길 지와 어느 정도의 수위로 이를 표현할지 여부에 따라 과거사를 둘러싼 한ㆍ일 및 중ㆍ일 간의 관계 개선 여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