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희 기자의 뒤적뒤적] 남자들은 죽었다 깨도 몰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대한민국 주부 여러분, 한가위 치르느라 수고 많았습니다. 어깨가 쑤시고 온몸이 뻐근한 분들이 많을 겁니다. 힘들기도 했지만 긴장이 풀린 탓이겠지요. 이런 육체적 피로 외에 명절 기간 중 마음고생을 한 분들은 적지 않을 겁니다. 가족 친지들이 모였으니 마음 쓸 일이 여간 많지 않았겠습니까. 남편에게 다시 한 번 '벽'을 느낀 일도 더러 있었으리라 짐작합니다. 남녀는 그 쓰는 말이 다르다고, 아니 같은 말을 해도 그 의미가 다르다는 지적이 있으니 같이 있는 시간이 길수록 마음 상할 일이 많을 수밖에요.

남자들이 죽어도 그 애틋함과 울림을 실감하지 못할 말 중 하나가 '친정 엄마'일 겁니다. 이 책은 코미디 작가가 그 친정 엄마에 관해 쓴 것입니다. 주부라면 누구나 한 자락씩은 풀어 놓을 수 있는 흔한 글감이지요. 그런데 감동과 눈물, 웃음과 통쾌함이 보통 아닙니다.

서울로 유학 간 딸의 용돈에 보태려고 어머니는 라면 봉지에 1원짜리 동전까지 모으고, 기차역에서 동전봉지를 두고 승강이를 벌이다 통곡하는 이야기엔 눈시울이 절로 뜨거워집니다. '남들은 딸의 작품이 재미있다지만 우리 딸이 저렇게 쓸라고 밤에 잠도 안 자고 고생했겠구나'하는 생각에 아예 TV를 보지 않는다는 대목에선 가슴이 먹먹합니다.

그런가 하면 딸의 상사가 드라마에 상추 씻는 엑스트라로 출연하라고 제의하자 "출연료 십만원 벌라믄 얼마나 많은 상추를 씻어야겠소. 나 허리 디스크 있어 힘든 일은 못 허요"라며 거절하는 씩씩함에는 뒤집어지죠. 엄마 이름이 촌스러워 방송국 사람들에게 창피하다는 딸의 한 마디에, 서류에 침 발라서 싹싹 지우기 쉽게 이름에서 받침 하나만 뺐다며 서울 올라가 서류고치기를 채근하는 무조건적 사랑은 또 어떻습니까.

며느릿감으로 못 마땅해 하는 시댁 부모들과의 상견례 자리에서 당차면서도 조리 있게 대거리를 하는 모습을 보면 재산이며 교양이란 것이 자식 사랑 앞에는 별로 힘을 못 쓴다는 사실도 알게 됩니다.

지은이는 그런 엄마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엄마! 힘들 때 왜 날 낳았느냐고 원망해서 미안해… 늘 나 힘든 것만 말해서 미안해… 늘 내가 먼저 전화 끊어서 미안해… 괜찮다는 엄마 말 100% 믿어서 미안해… 내가 잘나서 행복한 줄 알아서 미안해… 엄마는 나를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데 내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건 엄마가 아니어서 미안해, 정말 미안해."

참 심금을 울리는 책입니다. 어려운 말도, 예쁜 말도 쓰지 않았는데 말입니다. 친정 엄마의 힘일까요.

김성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