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2기 방송委 … 안팎으로 갈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2기 방송위원회가 지난 10일 공식 출범했으나 안팎의 반발이 심상치 않아 앞길이 순탄치 않다.

1기 방송위 임기가 지난 2월 11일 끝났는데도 3개월 만에야 정상화한 것이 그렇고, 첫 회의가 노조 저지로 두차례나 무산된 뒤 한 호텔에서 겨우 열린 것에서도 그런 조짐이 보인다.

우선 노조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방송위 노조와 언론노조는 자신들이 줄곧 부적격 인사라고 주장해 온 3~4명이 방송위원에 임명되자 격앙돼 있는 상태다.

특히 노성대 방송위원장-이효성 부위원장 체제로 굳어진 이후에는 타협의 여지가 없다는 반응이다.

김도환 방송위 노조위원장은 "노 위원장은 MBC 사장 시절 경영면에서 무능력함을 보여 줬으며, 이 부위원장도 방송위의 정치적 독립을 부정했던 사람"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우선 12일부터 노 위원장 등에 대한 출근저지 투쟁을 벌일 방침이어서 자칫 'KBS 서동구 사장 파동'의 재판이 될 듯 하다.

또 노조의 반발이 다는 아니다. 벌써 위원들끼리의 내부 갈등도 나타났다. 한나라당측 추천 위원(3명)들은 부위원장 선출 과정이 날치기였다며 원인무효를 주장해 진정한 정상화까지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방송위는 앞으로 ▶방송.통신 융합 법제 정비▶디지털 TV 전송방식 변경▶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 등의 과제를 풀어야 한다. 또 이달 중으로 EBS 사장.KBS 이사진 등을 추천 또는 임명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방송위가 자신들 앞에 놓인 각종 현안을 제대로 풀어낼 수 있을까. 방송위의 위태위태한 출발을 지켜보는 방송인들의 걱정이다.

이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