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논란 마침표 국립의료원 원지동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 을지로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우여곡절 끝에 서울 서초구 원지동에 새 둥지를 튼다.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립중앙의료원 현대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1958년에 문을 연 국립중앙의료원은 서초구 원지동에 600병상 규모로 신축해 확대 이전한다. 새로 문을 여는 의료원은 국가중앙중증외상센터와 감염병센터 등을 갖출 예정이다. 이전 비용은 4300억원이 든다. 시점은 복지부와 서울시가 추가 논의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다.

 이로써 복지부와 서울시는 11년을 끌어온 이전 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시설 노후화를 이유로 원지동 이전 계획이 처음 제기된 건 2003년이었다. 하지만 복지부와 서울시는 원지동 부지의 토지 가격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논란 끝에 2010년 이전 협약이 체결됐지만 의료 공백을 우려한 주민 반대 등으로 사업 진행의 속도가 더뎠다.

 이번 협약은 양측이 가장 팽팽히 맞섰던 원지동 토지 가격에서 절충안을 찾으면서 가능했다. 그동안 복지부는 협약 직전인 2009년 공시지가 기준인 600억원에 매입하겠다고 주장했고, 서울시는 현 시점 기준으로 1400억원에 팔겠다고 주장해왔다. 양측은 협약문에 구체적 금액을 적진 않았지만 서로의 입장을 절충해 900억원 이하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가 서울시의 다른 요구 조건을 대부분 수용한 것도 협약이 급물살을 탄 계기가 됐다. 예컨대 을지로 부지에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해도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200병상 규모의 서울의료원 분원을 설치하기로 했다. 운영은 서울시가 맡지만 장비구입·시설투자와 인력 조달은 복지부가 지원한다. 개원 당시 덴마크·스웨덴·노르웨이 등 3국의 지원으로 지어진 스칸디나비아 건축 양식의 의사 숙소도 서울시 요구를 수용해 근대건축물로 보존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 더이상 공공의료 강화를 지체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서명했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 을지로 부지에 건립될 서울의료원 분원을 최고의 시립병원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장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