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헌법안 막판까지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이라크 헌법안 마련을 위한 협상이 두 번째 시한인 22일 오후 6시(현지시간) 현재까지 타결되지 않은 채 정파 간 이해가 엇갈려 진통을 겪었다.

이날 오전.오후 회동에서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헌법 초안에 대한 합의를 본 것으로 알려졌지만 연방제 문제를 놓고 수니파가 반대해 오후 회동에서 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했다.

사담 후세인 정권의 집권세력이었던 수니파가 연방제를 반대하는 것은 그들의 거주지역인 이라크 서부와 중북부에 유전이 없기 때문이다. 남부지역의 시아파는 바스라 유전, 북부의 쿠르드족은 키르쿠크 유전이 있다. 수니파는 연방제가 도입될 경우 경제난을 겪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내전이 발발할 경우에도 불리한 입장에 처한다는 게 수니파의 판단이다.

헌법 초안엔 연방제를 도입할 경우에도 석유 수입을 18개 주에 균등하게 분배한다는 규정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수니파는 믿지 않는다. 시아파와 쿠르드족이 의회와 행정부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크타다 알사드르를 주축으로 한 시아파 과격세력과 북부 키르쿠크 주변의 투르코멘족도 연방제를 거부하고 있다. 알사드르는 20일 "연방제는 이라크를 분할해 약소국으로 만들려는 미국의 계략"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중 다수는 연방제를 할 경우 쿠르드족이 독립을 시도할 것으로 보고 있다. 헌법안이 22일 자정까지 마련되지 못할 경우 헌법안 마련 작업은 폐기될지도 모른다.

카이로=서정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