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계천 공사 교통대책 불안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서울 청계천 복원에 따른 교통대책이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서울시는 7월부터 청계천 고가도로 철거에 들어가는 등 복원공사를 강행할 태세지만 착공을 앞두고 가장 핵심적인 교통대책이 주민과 업계의 반대에 부닥치고 경찰에 의해 제동이 걸리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이렇게 시민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하면서 착공을 서두르는 것만이 능사인지 의문이다.

청계천로와 청계고가를 이용하는 하루 17만여대의 교통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할 경우 서울의 동북 지역은 물론 시내 전역에 교통 대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교통체계 개편계획에 따라 최근 원남고가차도 철거공사가 시작되면서 주변 일대가 극심한 교통 정체에 빠진 것을 봐도 앞으로 공사가 본격화하면 교통 사정이 얼마나 악화될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 때문에 청계천복원 시민위원회도 사전 교통대책에 대한 조건을 달았고, 시민단체들도 졸속 공사에 반대했다.

서울시가 내놓은 지선.간선버스제 교통체계 도입, 버스 중앙차로제 시행, 일방통행로 확대 등의 교통대책은 착공을 한달 20여일 남긴 지금까지 별 진척이 없고 오히려 꼬이고 있는 느낌이다.

도봉.미아로 버스 중앙차로제와 미아 고가차도 철거, 창경궁로.대학로의 일방차로제는 경찰에 의해 제동이 걸렸다. 여러 사정이 있겠지만 교통을 운용하는 경찰과 서울시가 이처럼 손발이 맞지 않는 것은 문제다.

서울시가 대규모 도심 공사를 너무 어설프게 준비한 것은 아닌지 우려를 갖게 한다. 지선.간선버스제 역시 업계의 반발이 클 뿐만 아니라 효과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시행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그동안 완벽한 교통대책을 세우겠다고 장담해왔다. 그렇다면 준비가 부족한 데도 날짜를 박아 착공을 서두를 일이 아니라 먼저 그동안 제시한 교통대책을 시험운용해 보고 문제가 없을 경우 공사를 시작하는 것이 순서다. 시민들에게 무조건 교통불편을 감수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청계천 복원의 참뜻을 반감시킬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