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 모호한 북 평화적 핵 이용 이견 있는 것처럼 보이면 득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중 외무장관 회담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오른쪽에서 둘째)과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왼쪽에서 둘째)이 12일 중국 외교부 회의실에서 제4차 6자회담 후속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북한은 평화적 핵 이용 권리가 있다"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한.미 양국이 조기 진화에 나섰다.

애덤 어럴리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11일 "(미국은) 한국도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에 반대한다고 했는데 정 장관이 반대입장을 밝힌 것 아니냐"는 질문에 "양국 간에 이견은 없다"고 말했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두 나라는 맹방으로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갖고 있다"며 "양국 간 긴밀한 관계는 최근 13일간 베이징에서 벌인 협상과정에서 분명히 확인됐다"고 말했다.

워싱턴의 외교소식통들은 "미국은 정 장관 발언을 '관대한 무시(Benign Negligence)'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 관계자는 "개념조차 모호한 '평화적 핵 이용'을 놓고 한국과 이견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건 득될 게 없다는 것이 미국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도 4차 6자회담 후속 회담을 앞두고 한.미 간 이견이 노출되면 북한에 핵 포기 결단을 미룰 빌미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양국 간 입장차는 없다고 강조했다. 6자회담 차석 대표인 조태용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치를 준수하면 평화적 핵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정리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도 12일 리자오싱(李肇星) 외교부장과 만나 북핵 6자회담 후속 대책을 논의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정 장관의 발언을 놓고 한.미 간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비춰지고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최상연 기자, 베이징.워싱턴=유광종.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