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가 있는 아침 ] - '소가죽 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소가죽 북' 손택수(1970~ )

소는 죽어서도 매를 맞는다

살아서 맞던 채찍 대신 북채를 맞는다

살가죽만 남아 북이 된 소의

울음소리, 맞으면 맞을수록 신명을 더한다

노름꾼 아버지의 발길질 아래

피할 생각도 없이 주저앉아 울던

어머니가 그랬다

병든 사내를 버리지 못하고

버드나무처럼 쥐어뜯긴

머리를 풀어헤치고 흐느끼던 울음에도

저런 청승맞은 가락이 실려 있었다


이질적인 두 사물 즉 '소가죽'과 '어머니'를 연결하는 유사성의 지각으로부터 이 시는 시작된다. 소처럼 가련한 존재가 또 있을까? 살아서는 인간을 위해 자신의 전 노동력을 바치고 죽어서는 부위별로 팔려나가고, 북이 된 가죽은 매까지 맞는다. 이 땅의 남편들이여, 아내를 때리지 마라. 그들은 '소가죽 북'이 아니다. 그들은 위대한 어머니가 아닌가.

이재무 <시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