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민들 시골 이주를 꺼린다|시, 23만명 조사-전체의 0.1∼0.2%만 희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대도시에 살고있는 영세민들은 정부의 이주지원 대책에도 불구, 시골로 내려가기를 꺼린다. 이 때문에 정부가 올해 역점사업으로 내세운「대도시영세민 농촌이주정책」은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보름동안 시내 5만7천1백31가구 23만명의 자활보호자 및 자택보호자 등을 대상으로 농촌이주희망가구 조사를 실시했으나 희망가구는 전체 대상자의 0.1∼0.2%밖에 되지 않았다.
자활보호자 7천10가구(3만2천5백22명) 거택보호자 4백56가구(7백20명) 저소득층 7천6백64가구(3만4천2백38명) 등 서울시내에서 영세민이 가장 많은 관악구의 경우 20가구 이상의 영세민 집단마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희망자가 지역마다 1, 2가구에 불과해 15일까지 겨우 20여가구가 신청했다.
또 8천6백72가구 3만3천58명의 영세민이 살고있는 동대문구도 희망가구는 영세민 8가구, 저소득층 4가구 등 12가구뿐.
이 밖에 자활보호자 2천8백15가구, 거택보호자 4백18가구가 있는 강동구도 비슷한 실정으로 희망자는 10가구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농촌이주 희망가구조사와 함께 대상 영세민들에게 이사비 지원·취업우선 알선·의료혜택 등의 각종 지원혜택에 대한 계몽 ·설득을 폈으나 대부분의 영세민들은 ▲50만원의 이주 대책비가 너무 적고 ▲농사를 짓는다하더라도 농토를 마련하기가 어려우며 ▲일 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 농촌생활에는 적응할 수 없다는 점등을 이유로 이주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