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문화원방화범 색출비상 주말 전국에 검문방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비상걸린 주말」이었다.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으로 전국에는 거리와 골목마다 검문검색이 실시돼 삼언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서울·부산을 비롯, 대구·광주·대전·인천 등 번화가와 골목은 물론 산간벽지의 암자와도·군계 요소마다 전국의 8만경찰을 비롯, 무장군·경수사요원이 행인과 차량을 세워 정밀검문검색을 벌였고 호텔·여관·여인숙까지 뒤져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았다. 20일 하오 6시부터 자정까지와 21일 하오 2시부터 자정까지 2차례에 걸쳐 실시된 일체수색은 전국의 3만여개의 유허가 숙박업소와 무허가숙박업소 및 사찰·암자·독립가옥·수상한 아파트등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종전 일제수색에서 제외돼 온 1백30여개 관광호텔에 대해서도 이례적인 검색이 실시됐다. 경찰은 이와함께 전국의 성당·교회·기도원 등에도 방화범의 몽타지와 인상착의가 적힌 전단을 둘리며 협조를 구했다.
이사건과 관련, 안응모 치안본부장은 휴일인 21일 하오 경찰비행기편으로 부산에 내려가 현지수사팀을 격려했으며 이날 서울과 부산·경남을 제외한 7개도에 치안본부의 치안감 및 경무관급 수색독려반을 파견했다.
치안본부는 21일 치안본부에 수사지도부(본부장 송동섭 치안본부 제3무장)를 설치, 전국적인 수사공조체제를 이루기로 했다.
경찰은 이와 함께 전국의 각 시·도 경찰국에 독자적인 수사본부를 실치토록 하고 각 경찰서에도 수사전담반을 두기로 했다.
경찰은 특히 이번 수사를 태만히 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 엄중문책키로 하고 범인이 검거된 후 ▲방화범의 숙박지점과 ▲교통수단을 이용했을 경우 승·하차지점을 밝혀내 관할경찰서장에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경은 일제수색과 병행해 각 경찰서로 하여금 구청장과 협의, 각통·반조직과 민방위조직을 통해 시민들의 신고협조를 받도록 했으며 지방에서도 행정조직을 통해 전단이 배포됐다.
서울시경은 이에 앞서 19일부터 21일까지 4차례에 걸쳐 관련수사기관과 합동으로 연인원 8천4백37명을 동원, 서울시 일원에 대한 검문·검색 및 수색을 실시, 형사범·보안사범 등 l만6천5백54명을 단속했다.
경찰은 이들 단속자 가운데 6백84명을 입건하고 2천9백27명은 즉심에 넘겼으며 2명은 관련기관에 넘기고 나머지는 통고·훈방처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