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개 종합경기장 누적 적자 5700억원, 국제경기 유치도 수도권에 쏠려

중앙일보

입력

 
전국 93개 종합경기장(1만석 이상 규모)의 지난 5년간 누적적자액이 574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에 따르면 경기장 입장료와 임대료 등 총 수입에서 시설관리비와 인건비 등 총 지출을 제외한 순수 적자가 3761억원, 시설 개ㆍ보수비가 1983억원이었다. 이 경기장들은 대부분 국비와 지방비, 기금 등 세금으로 조성됐다.

5년간 연평균 운영일수가 120일도 되지 않는 곳도 전체의 41%인 38곳이나 됐다. 특히 충남 예산 공설경기장(총 사업비 24억6000만 원)의 경우 5년간 운영일수가 83일, 2011년에는 단 7일에 불과했다. 5년간 국제경기 유치건수 187건 중 104건이 서울(35건)과 경기(69건)에 집중되는 등 수도권 편중 현상도 드러났다.

가장 적자가 심한 곳은 부산으로 5개 경기장에서 246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당시 메인스타디움으로 쓰인 ‘아시아드주경기장’이 498억 원, 사직실내체육관 571억 원 등이다. 이어 경기 523억원, 대구 388억원, 대전 163억원 순이다. 이 의원은 ”이번에 인천 아시안게임을 치른 경기장들도 신ㆍ증축 비용으로 약 1조5000억원 이상 투자했다고 하는데 적자운영이 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지자체 주관하는 지역행사나 기업후원 체육대회, 국제 체육대회 등 각종 행사 유치를 통해 경기장 운영일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며 “중앙정부차원에서도 K-POP 공연이나 걷기대회 등 각종 문화체육행사 등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