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낳는 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아들을 낳으려면 감자나 소금을 먹어라.』
이건 이웃집 할머니가 가르쳐준 비법이 아니다. 더우기 예로부터 전해오는 민간요법도 아니다.
최근 호주에서 열린 국제의학대회에서 프랑스산부인과의수「장·추크롱」박사가 발표한 내용이다. 그는 임상실험에서 88%의 성공률을 얻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가 가르쳐준 아들을 낳는 음식은 감자·버섯·강남콩·아키초크 (엉겅퀴과의 일종)·소금, 그리고 육류와 바나나·복숭아·살구다. 또 딸은 야채·사과·파인애플로 결정된다.
그렇지만 이 식이요법엔 조건이 있다. 임신 6주전부터 부부가 함께 철저히 지켜야한다.
물론 이론적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아직은 임상실험의 결과일 뿐이다.
파리대학의 생리화학자「즈제프·스톨코프스키」교수도 작년에 발표한 식이요법이 있었다.
20년간의 연구끝에 그는 나토륨·칼륨 등 알칼리성식품을 집중적으로 먹으면 아들을 갖게되고, 칼슘·마그네슘 등 알칼리토금류를 많이 먹으면 딸을 낳는다는 것이다.
이「과학적 식이요법」의 성공율은 85%.
이 경우 딸을 낳으려면 주로 우유·달걀·편도복숭아·벌꿀을 먹어야 하고 치즈·바나나·소금은 피해야한다. 대신 아들을 낳으려면 차·과일주스·생선·자두·흑초컬리트, 특히 소금을 섭취해야 하며 아이스크림과 게는 절대 피해야한다.
대체로 두 주장이 접근하고 있는 건 흥미롭다.
단지「스톨크프스키」의 경우는 주장만이 식단을 지키면 된다. 또 건강한 주부라면 임신전 1달 반만 지키면 된다.
그러나 이 식이요법이「스톨코프스키」의 창안은 아니다.
한 농부의 편지가 힌트가 됐다. 젖소 중 암소만 낳는 것과 수소만 낳는 것이 있는 이유를 문의한 편지였다.
수소만 낳는 소는 탄산칼륨분을 비료로 준 목초지에서 방목된 것이었다.
수의와의 공동연구 7년만에 그는 식품의 비밀을 터득했다.
그러나 중요한건 이 식이요법이 아들선호 또는 딸 선호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특수한 질병으로 아들·딸을 구분해 낳아야 하는 경우 등 우생학적 배려가 중시되고 있다. 혈우병을 가진 주부는 아들을 낳을 경우 50%는 병을 유전해준다. 딸일 때는 보인자는 되지만 병자는 되지 않는다. 또 식이요법으로 유산을 피할 수도 있다.
임산부에겐 영양상 아무 결함도 주지 않는 장점도 있다.
아들·딸의 점지는「삼신할머니」의 일이요.「조물옹」의 조화다.
그러나 사악한「운명의 사슬」을 식이요법이 극복할 수 있다면 그걸 종교인들이라고 탓할순 없을 것 같다. 이것은 유전자공학의 무례한 생명조작관 달라보인다. 어쩌면 자연순응의 기술일 수도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