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마을 연간 가구당 소득 240만원 77년보다 69% 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전국3천4백44개 섬 가운데 16%인 5백6l개 섬에 56만3천4백73명(11만6전2백41가구)이 살고있으며 연간소득은 가구당 평균2백40만원(최고5백 만원)으로 전체가구의 81%가 전국평균소득수준(2백64만7천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소득은 3년전인 77년(가구당1백42만원)보다 69%, 연간 23%씩 증가한 것이다.
또 전체 섬 마을의 93%인 5백21개 도시에 급수탱크·급수선으로 식수를 공급하나 완전급수율은 38%선에 머무르고 있으며, 전깃불은 98%인 11만6천 가구에 들어오고 여객선은 그 절반인 2백85개 섬에 다니고 있다. TV보급률은 섬 마을 가구 중 절반이 넘는 55%, 라디오 보급률은 96에 이르며 신문구독률은 22%로 밝혀졌다.
그러나 가구당 경지면적0.76㎞(전국1.03㎞) 경지정리율33%(전국54%) 수리답률50%(전국86%) TV보급률(전국85%)등 여러 가지 부문에서 전국평균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사실은 내무부가 실시한 80년말 현재 전국도서·낙도 실태조사결과 밝혀졌다.
이에 따라 내무부는 도서·낙도 종합개발 1차 5개년 계획 기간인 86년까지 전기·급수·교통난을 해결하고 보존자원을 체계적으로 개발키 위해 내년에 자원조사를 펼 계획이다.
도서·낙도실태는 다음과 같다.

<인구·면적>
전국3천4백44개 섬 가운데 유인도서 5백61개, 무인도서 2천8백83개.
유인도서 인구는 11만6천2백41가구 56만3천4백73명이며 여자가 28만2천2백92명(50.1%)으로 남자보다 1천1백11명이 더 많다.
인구 1천명이 넘는 섬이 14%인 81개이며 1백∼5백명이 사는 섬이 32%인 l백74개로 가장 많고 30명도 못되는 선이 32%인 1백28개나 된다.
유인도 평균면적은 4.2평방㎞(총 면적2천3백37평방㎞)로 1개 유인도 평균 인구는 1천4명.

<산업경제기반>
농·어업을 겸하는 가구가 28.5%인 3만3천1백29가구로 가장 많고 논은 전체면적의 11.9%인 2백77평방㎞, 밭 4백2평방㎞(17%)이며, 62%인 1천4백56평방㎞가 임야.
주민평균소득이 연2백∼2백50만원 되는 섬이 2백2개로 가장 많고 1백50만∼2백 만원이 1백58개로 다음이며 5백 만원이 넘는 섬도4개(여천군 지진 우도·고흥군 사양·해남군 어불도)나 된다.
그러나 소득1백50만원 미만도서도 24개나 되는 등 전국평균소득 수준이하가 81%에 이른다.

<주거환경>
▲주택=총10만7백68등. 주택보급률87%로 전국평균율 77%보다 10%높고 동당 평균인구는 4.8명.
주택 중 함석집이 25.7%(2만5천8백91동)로 가장 많고 초가 16.7%(1만6천8백64동) 기와집 12.2%(1만2천3백12동)의 순.
▲식수=식수선 등으로 93%가 식수를 공급받고 있으나 완전급수율은 38%에 불과하다.
심한 식수난을 겪고 있는 주민은 40개(53개 부락) 섬1천9백22가구 9천9백38명이다.

<교육>
학교 없는 섬이1백4개(5백84가구 3천3백83명)나 된다. 학교 수는 총7백32개교이며 이중 국민학교가 6백24개(85.2%), 중학교 71개(9.7%), 고교 21개(2.8%)이며 유치원은 16개교(2.3%). 학생 수는 16만9천명으로 국교생 12만2천명(73%), 중학생 3만9천명(23%), 고교생 7천명(4%), 유치원 6백96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