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이미지 쇄신 주목적|「대공」등 본래 기능에만 주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해설>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칭키로 한 것은 국내외의 중정에 대한 일부 일그러진「이미지」를 개선하려는 일련의 노력의 마무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중정은 5·16혁명과 더불어 창설된 지난20년 동안 국가안보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본연의 업무이의에 국가의 거의 모든 사안에 관여하게 됨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숱한 물의를 빚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런 과정에서 중정 또는 KCIA하면 국내외적으로 달갑지 않은「이미지」가 붙게 된 것도 부인할 수 없다.
10·26사태이후 중정은 이러한「이미지」를 씻기 위해 조직과 인원에 대한 대폭적인 수술을 단행, 과거의 모든 비리와 모순을 제거하는 노력을 벌여왔다.
그리하여 지난4월부터 7월 사이에는 간부직원 수백명이 물러나고 조직도 대공 및 해외정보부문에 중점이 두어지도록 대폭 축소 개편되었다.
명칭변경과 법 개정이후 안전기획부는 국외정보와 대공 및 대정부 전복 등 국내보안정보의 수집·작성·배부 등 본래의 기능에만 주력할 방침이다.
중정 때에 비해 본래의 직무 중에서도 정보 및 보안업무를「조정·감독」하던 것이「기획·조정」으로, 부내직원의 범죄에 대한 수사를 전담하던 것이 직원의「직무에 관련된」범죄에 대한 수사만으로 바뀌었다.
이밖에도 안전기획부는 ▲국가기밀에 속하는 문서·자재·시설·지역에 대한 보안업무와 ▲형법 중 내란죄·외환죄, 군형법 중 반란죄·이적죄·군사기밀누설죄·암호부정사용죄·군사기밀보호법·반공법·국가보안법에 규정된 범죄의 수사 등 국가차원의 정보기구로서의 업무는 계속 수행하게 된다고 이번의 명칭변경과 법 개정은 지난 1년여 추진해 온 제도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고쳐온데 대한 최종마무리 조치인 만큼 또 다른 직제 개편이나 인사이동은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성병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