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싸고 편리한 대중교통수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교통부 시내「버스」요금을 반의 경우 80에서 90원으로(12.5%), 학생의 경우 55원에서 65윈(18.2%)으로 각각 인상, 6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 밖에 지하철기본요금은 12.5%, 철도요금은 20%(여객)내지 25%(대물)올려 오는 15일부터 시행하고 시외「버스」와 연안여객선요금도 10일부터 평균9.8%, 19.3%씩 인상하도록 허용했다.
시내「버스」를 비롯한 대중교통요금은 작년에 두 차례에 걸쳐 60%내외가 오른 데이어 8개월만에 다시 인상되는 것으로, 서민가계에 적잖은 충격을 줄뿐 아니라 국민들의「인플레」심리와 일반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이러한 충격과 파급효과를 충분히 예측하면서도 당국이 대중교통요금을 올린 데는 물론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교통부는 그동안 유류값·인건비 상승 등으로 교통요금인상을 억제할 경우 영세운수업체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재정형편상 이들 업체에 대한 국고지원을 더 이상 해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인상이유를 설명하고 있으며 업자들은 지난2월이래 73억여원의 국고보조와 조세감면 등 혜택을 입었지만 인상요인중 인건비상승부분을 감안하지 않고도 50%밖에 적자보전을 받지 못한 셈이라고 말하고 있다한다.
또 철도수입의 경우 이번 요금인상으로 1백20억 가량의 증수가 예상되나 그래도 6∼7백억원의 적자가 불가피한 형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인상요인의 적부를 가릴 자료가 없는 우리로서는 이번 인상조치를 부득이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대생활에서 대중교통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추어 차제에 요금이 싸고 그것을 이용함에 있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보다 세심한 정책적 배려를 촉구하지 앓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대중교통기관의「서비스」가 엉망이라는 것은 정평이 난지 오래다. 「러시아」의 승객은 손님이 아니라 짐짝취급을 받는다는 표현이 알맞을 정도고 노선도 수송이나 승객의 편의가 아니라 업자의 수지 위주인 경우가 많다는 말을 들어왔다.
최근 몇년 사이에 당국의 적극적인 시책으로 승차난이 많이 완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껏 종사원들의 자정향상, 노후차량의 대체, 「서비스」등 개선되어야 할 여지는 너무나 많다.
노후차량이 많다는 것은 매연 등 도시공해의 큰 원인이 뒤고 있고, 특히 혼전기사나 안내양들의 근무조건이나 근무자세는 승객의 안전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한시바삐 개선되지 않으면 안될 문제인 것이다.
이번에야말로 대중교통수단의「서비스」부재가 말끔히 가셔져 밝고 명랑한 출·퇴근이 보장되도록 당국은 한층 힘써 주어야겠다.
그리고 인상요인이 있다해서 그대로 요금인상에 반영한다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시민의 발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교통기관의 경우는 특히 그렇다. 국가재정상 크게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안에서 업자에 대한 금융지원·조세혜택 등은 계속해서 대중교통기관이 싼 요금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서민생활의 안정을 돕는 길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바야흐로 새시대 건설을 위한 정지작업과 함께 서민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갖가지 시책이 강구되고 있다. 각종 대중교통수단을 보다 값싸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는 근본적이고 항구적인 대책이 그런 시책의 일환으로 세워질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