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양파 재야영입·당헌개정 싸고 중앙상위서 대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 총재는 29일 상오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재야인사의 영입폭을 확대하기 위해서라도 중앙상위에서는 당의 골격에 관한 당헌개정을 할 수 없다』고 재야영입을 위한 당헌개정에 반대하고『신민당과 재야의 통합이란 있을 수 없고 다만 모든 세력의 구심점인 신민당에 재야가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당권파는 중앙상무위가 열리면 재야 통합을 위한 획기적인 결의안을 채택하고 재야영입을 수용할 당헌개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당권파는 이날상오 한「호텔」에서 박영록 송원영 이택돈 고재청 노승환 이용희 예춘호 정대철 오홍석 이필선 김승목 조세형 의원과 이중재 박종율 유제연 전 의원 등 김대중씨를 지지하는 정무위원 및 참모연석회의를 열고 이같은 원칙을 확인했다.
모임이 끝난 후 정대철 의원은『현 당헌에도 재야영입을 위한 당직확대조항이 있지만 이는 유신체제 안에서의 당 세 확장에 불과한 것이었으므로 10·26이후 새로운 규모의 재야통합을 위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신민당의 획기적인 결의가 있어야한다』고 말하고『지난 전당대회에서 당의 골격에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중앙상위가 당헌을 개정할 수 있도록 전당대회로부터 위임받았다』고 지적, 재야영입 이전의 당헌개정을 주장했다.
현 당헌에는 재야를 위해 부총재1명, 정무위원5명 이내, 상무위원30명 이내 등 36명의 당직확대를 당헌개정 폭으로 정해놓고 있으나 비당권파는 이를 최소한 1백명 선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비당권파 회의에서는 이번 중앙상위에서 당권파가 의장후보로 내정해놓은 이상신 의원에 맞서 후보를 내세우는 문제도 검토했으나 결론을 내리지는 못하고 ▲시국 등을 감안하여 후보경선을 보류하자는 의견과 ▲후보로 김수한·오세응 의원 및 이중재씨 등을 타진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들은 31일「비당권파 유지회의」를 열어 현안문제를 더 검토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