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악생필품 품질관리실시|공진청 전구·세탁비누등 24개 품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구·세탁비누등 생활필수공산품의 질이 나빠지고 그나마 제값에 사기가 힘들어진 것은 현대화된 생산시설의 미비와 무리한 공장도가격 억제정책 때문인 것으로 지적돼 과감한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생필품의 질이 개선되지 않고 구하기도 힘들어 서민들은 질과 값등 이중의 손해를 보고있는 셈이다.
23일 공업진흥청의 불량공산품 발생원인조사에 따르면 생산자입장에서는①시설의 전근대성②기술의 낙후및 품질관리체제의 부실③과당경쟁과 군소업자의 난립③저가격정책으로 걱정이윤보장의 불가능등이 지적되었다.
소비자와 점부쪽의 책임은 ①값싼 상품의 선호와 개발정신의 미약 ②품질표시에 대한 인식부족 ③소비자보호운동의 미약 ④정부관리의 불합리성및 지도계몽의 미흡이 열거되었다.
가격억제로 인한 품질조악화는 전구류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전구는 한달이 못가 끊어지기가 일쑤다.
공진청은 이러한 가격억제정책이 결국 품질저하와 품귀현상만을 가져온다고 보고 품질개선 품목에 대해선 이를 가격에 반영, 적정이윤을 보장해주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서 추진하기로 했다.
공진청은 공산품의 품질개선을 위해 생활필수품중 불량율이 높은 전구·전기장판·「퓨즈」·수도꼭지·세탁비누·완구류·「콘센트」둥 24개 가정용품과 기술수준이 취약한 산업용품및 계량기류에 대해 집중적인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품질개선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공진청은 이를 위해 불량품일소대책위원회를 이미 설치하고 품질「모니터」제를 이미 실시하고 있다.
품질을 집중관리할 24개 가정용품의 생산업체는 모두 8백57개업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