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6·4 지방선거 득실 계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28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전격 사퇴 소식이 전해지자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들은 할 말을 잃은 표정이었다. 서청원·이인제 공동선대위원장은 “공식적으로 노코멘트”라고 했다. 유기준 의원은 “조금 더 버텨 본격 국가 개조에 나섰어야 했다”고 아쉬워했다.

 하지만 이내 전열을 수습하곤 새정치민주연합(새정련)에 공세의 초점을 맞췄다.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은 “몇 개월간 실수가 있었더라도 야당의 무책임한 정치 공세가 문제”라며 “이제 누가 총리를 맡으려 하겠느냐”고 되물었다. 박대출 대변인은 “정치적 난도질과 장외 난전에 휘둘려 능력과 자질에 대한 검증 기회조차 박탈당했다”고 말했다.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을 놓고는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익명을 원한 한 중진 의원은 “현재로선 악재”라고 했다. 다만 그는 “안대희 같은 사람이 왜 낙마해야 하느냐는 우호적 흐름이 나올지, 아니면 왜 잘못된 후보자를 택했느냐는 비판적 흐름이 나올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김세연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국민은 야당의 신상털기로 정부 시스템 혁신 등이 흐려지는 상황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야당 책임론’에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가 자초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국민이 아닌 청와대를 위한 인사의 결말”이라며 “국가재난 시스템에 이어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이 붕괴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바뀌려면 김기춘 비서실장을 바꿔야 한다” 고 주장했다.

 유은혜 원내대변인도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기춘 대원군’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며 “세월호 국정조사 증인으로 김 실장만은 안 된다는 여당의 주장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공격했다. 다만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정을 원활히 운영하고 국민을 편안히 모셔야 할 야당도 마냥 좋아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대통령이 강골 총리로 정면 돌파를 시도해 보수진영의 결집을 기대했으나 안 후보자의 사퇴로 여당 지지층이 무력감에 빠질 수도 있고 역으로 결집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강태화·이윤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