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각 열도 충돌-극동 분쟁으로 확대 기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동경=김두겸 특파원】「센가꾸」 열도를 둘러싼 일·중공간의 영유권 분쟁은 소련과 몽고가 일본측의 입장을 지지하고 나서고 자유중국도 영유권을 주장함으로써 이 문제는 일·중공 양국의 분쟁에서 극동의 분쟁으로 확대될 기미를 보여 새로운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센가꾸」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일본은 중공과 평화 우호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재는 방침을 굳힘으로써 대중공 관계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일·중공간의 이 같은 관계 악화가 극동에 이해 관계를 갖고 있는 소련과 자유중국을 자극한 것이다. 특히 소련이 일본의 입장을 지지하고 나선 것은 주목을 끈다. 일·중공 접근에 신경을 써 왔던 소련으로서는 이번 일·중공의 영유권 분쟁이 일·중공간의 친밀을 떼어놓는 「호기」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소련은 그 동안 중공이 「아시아」에 있어서 소련 포위망을 구축한다는 전략 아래 일본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에 불만을 표시해 왔다.
그 때문에 소련은 일본의 또 하나의 현안인 일소 평화 우호조약 체결에 냉담한 태도를 취해 왔던 것.
일본 정부는 14일 중공이 일부 무장 어선을 포함한 1백30여척의 대규모 어선단을 일·중공·자유중국간의 3국 영유권 분쟁으로 확대 기미를 보이는 동지나 해상의 무인도 「센가꾸」열도 해역에 출어시킨 데 대해 이들을 즉각 철수시킬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나 중공이 이를 일축함에 따라 예정된 일·중공 평화 우호조약 협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소노다·스나오」 외상이 밝혔다.
「소노다」 외상은 또 북경 주재 일본 공사 「도노와끼·미쓰로」에 훈령을 내려 중공에 항의 각서를 전달하고 『「센가꾸」열도 처리 문제는 일·중공 협상 재개 여부 문제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양국 정부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중공이 먼저 어선단을 철수시키는 것이 선결 조건』임을 통고케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본의 항의 각서를 전달받은 중공 외교부 「아시아」국부국장 왕효운은 「센가꾸」 열도가 중공 영토임을 거듭 주장하고, 그러나 중공은 이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의 진상 조사에 착수할 방침임을 「도노와끼」공사에 통고했다.
한편 소련과 몽고는14일 일·중공간의 「센가꾸」열도 영토권 분쟁에 관해 중공을 맹렬히 비난하고 일본측을 지지했다.
소련은 이날 대규모 중공 어선단이 12일 동지나해 일본 지배 도서 「센가꾸」도 주변에 출현한 것은 1956년이래 중공이 소련·「버마」·인도·「베트남」·몽고, 그리고 황해 및 지나해 연도들에 대한 영토권 주장을 함으로써 추구해 온 팽창주의 정책의 일환이라고 비난하고 「센가꾸」열도는 일본 영토라고 잘라 말했다.
또 자유중국은 14일 조어 대열도(일본명 「센가꾸」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다시금 주장했다고 자유중국 외교부가 발표했다.
외교부 대변인은 『조어 대열도는 자유중국 영토의 불가분의 일부』며 이 열도에 대한 자유중국의 주권은 논의의 여지가 없다면서 일본의 영유권 주장을 일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