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홍채 인식하는 전략폰 내놓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삼성전자가 앞으로 출시할 전략 스마트폰에 홍채 인식 기술을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인 홍채는 모양이 평생 변하지 않고, 다른 사람과 같을 확률이 0%에 가까워 위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초 홍채 인식 기능은 갤럭시S5에 장착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갤럭시S5에는 지문 인식 기능만 탑재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이인종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전무는 이날 홍콩에서 열린 ‘삼성 투자자 포럼’에서 “삼성은 스마트폰 보안 강화를 위해 홍채 인식을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생체 인식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무는 삼성전자에서 기업용 보안 소프트웨어(SW) ‘녹스(KNOX)’ 개발을 총괄하는 책임자다. 현재 홍채 인식 기술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화면에 자신의 눈동자를 맞추면, 스마트폰에 이미 저장한 홍채와 사용자의 눈동자 간 일치 여부를 가리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1초 안에 식별이 가능한 수준까지 발전했다.

 삼성은 홍채 인식 기술을 우선 프리미엄 모델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이 전무는 “홍채 인식 기술은 전략 스마트폰에 먼저 적용될 것”이라면서 “홍채 인식 센서(아이리스 스캐너)가 가능한 한 많은 단말기에 적용되면서 곧 일반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보급형 스마트폰에도 지문인식 같은 생체 인식 시스템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가격이 비교적 낮은 중저가 스마트폰에는 갤럭시S5에 채택한 지문 인식 기능부터 점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뜻이다.

 삼성전자가 홍채 등 생체 인식 기능 개발에 주력하는 이유는 갈수록 규모가 커지는 모바일 보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현재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지문인식 기능은 애플 ‘아이폰5S’와 팬택 ‘베가 아이언’ 등에도 적용돼 삼성 입장에선 차별화가 쉽지 않다. 또 음성인식 기능의 경우, 2011년 애플이 음성인식 서비스 ‘시리(Siri)’를 출시하면서 아이폰에 먼저 적용했다.

김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