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 야와 판문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동경=김경철 특파원】판문점사건 이후 일본의 조 야가 보인 반응은 북괴에 대해 부정적인 반면 한미 측에 동조적 내지 협조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사건직후「오끼나와」기지에서 미 해병대가,「요꼬스까」항에서「미드웨이」항 모가 출동한데 대해 일본의 언론과 좌익계 야당까지도 아직까지는 아무런 이의도 제기한바 없었다.
일본정부는 이번 사건에 관해 공식견해를 나타낸바 없으나 미 국방성이 주한미군에 특별경계 령을 내리면서『한반도 지역의 미군은 주일 미군도 포함되어 특별경계태세에 들어갔다』고 밝혔을 때 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았다.
「미야자와」외상은『군사력 출동에 대해 미국정부로부터 사전 통고가 있었다』고 밝혔고 일본방위 청 관계자는『주한미군의 증강 책이어서 이의가 없다』는 반응이었다. 남-북한에 대해 표면상 중립적이었던 일본여론은『모든 점에서 북괴 측에 이번 사건의 발단원인이 있다고 보아도 틀림없다』(동경신문 사설)고 보고 있으며 한반도에서 전쟁위험이 있다면 그것은 북괴 측에 책임이 있기 때문에 주한미군의 계속주둔이 필요하다고까지 주장했다.「요미우리」신문은 22일 사설에서 판문점사건이 비동맹회의의 막바지에 일어난 것을 지적하고 북괴가 한반도 문제의 자주적 해결이라는 입장에서 주한미군의 철수를 요구하고 있으나『주한미군은 긴장증대의 요인이 아니고 분쟁의 억제력』이라고 강조했다.
이 사설은 더우이 북괴 측이 휴전협정의 당사국이 아니라는 구실로 한국을 제쳐놓고 직접 미국과 평화협정을 의도하고 있는 것은 자주평화 해결을 내세우는 북괴의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신문들은 북괴가 전투태세에 돌입한 원인분석에서 북괴 내의 악화된 경제사정·권력투쟁 등을 들기도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대부분 신문들은 올 가을「유엔」총회에서 북괴가 곤경에 처할 것이 틀림없고 북괴지지 결의안보다는 한국지지결의안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정국과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자그마한 사태도 한국문제에 관해서는 거론하던 일본의 일부 야당도 이번 사태에 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