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국적 종군위안부 할머니 2명 영구 귀국

중앙일보

입력

중국에 거주하던 북한 국적의 종군위안부 출신 할머니 두 명이 처음으로 영구 귀국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지난 26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하상숙(75).백넙데기(81) 할머니.

하씨는 인천공항에 마중나온 남동생 용운(67)씨 등 가족.친지의 환영을 받고 "고향에 돌아오게 돼 이젠 죽어도 여한이 없다"며 기뻐했다. 백씨는 "한국에 돌아와 기쁘지만 오빠와 세 동생들이 생존해 있는지 궁금하다"며 60여년 전에 헤어졌던 가족들을 그리워했다.

충남 서산이 고향인 하씨와 전남 승주 출신의 백씨가 일본군 위안부로 중국에 끌려간 것은 각각 17, 18세 때.

"그 땐 세상 물정을 전혀 몰랐죠. 군인들을 환송해 주는 일이라길래 그냥 따라 나섰는데 지금까지 타국에서 살게 됐습니다. 하루에 10여명의 군인들을 상대해야 했던 젊은 시절을 생각하면 지금도 울화통이 터집니다."(하씨)

"어릴 적 민며느리로 시집갔다가 남편이 식당에 팔아넘긴 후 이리저리 팔려다니다 결국 위안부가 됐어요. 이름도 없이 방 번호인 2호로 불리며 총칼로 위협하는 군인들에게 몸을 맡겨야 했습니다."(백씨)

백씨는 위안부 생활 당시 힘이 들어 더 이상 군인을 못 받겠다고 했다가 일본군 장교에 의해 손가락이 잘리기까지 했다. 이로 인해 지금도 손가락을 골무와 손수건으로 가리고 다닌다.

이들은 해방 이후에 몸이 더럽혀졌다는 자책감으로 고향에 돌아올 수 없어 중국에 남았다가 북한 국적을 취득했다.

하씨는 "당시엔 중국과 수교가 된 북한 국적밖에 취득할 수 없었다"며 "그래도 조선인으로 남아야 고향에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할머니들은 중국인과 결혼해 가정을 이뤘지만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꿈을 버리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서울 상도성결교회 등 민간단체들의 도움으로 1999년 한국 정부로부터 국적회복 판정을 받고 4년만에 고향 땅을 밟게 됐다.

두 할머니는 앞으로 교회 측이 마련한 거처에서 함께 여생을 보낼 계획이다. 이들의 귀국을 주선한 성결교회 김원동(60)장로는 "국적 취득 문제로 귀국이 지연되는 동안 세상을 떠난 할머니들도 있다"고 말했다.
윤혜신 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