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정리 가능해진 윤동주 문학 미발표 유작 12편 발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해방되던 해인 45년2월16일 일본「후꾸오까」형무소에서 29세의 젊은 나이로 옥사한 민족시인 윤동주의 미발표 유작시 12편이 그의 실제 윤일주씨(성균관대교수·건축학)에 의해 발굴, 공개되었다.
식민지 치하에서 동시 몇 편(그것도 가명으로)을 제외하곤 단 1편의 시도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던 윤동주의 작품은 해방 후 유족과 친지에 의해 몇 편씩 발표되어 이제까지 그가 남긴 작품은 1백4편(시 71편 동시 28편 산문 5편)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번 12편이 공개됨으로써 그의 유작은 모두 1백16편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이번에 발굴된 12편의 작품 윤동주의 시작의욕이 왕성했던「교오또」시절(42∼43년) 에 쓴 작품이 발굴되지 않는 한 마지막 발굴작품이 될 것이라는데 큰 뜻이 있다. 43년7월 사상범으로 체포되면서 윤동주는 상당량의 시작「노트」를 일제에 압수 당했는데 해방 후 이 작품을 찾으려는 노력이 전개되었으나 수포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윤동주씨가 보관하고 있는 윤동주의 작품들은 간도와 평양의 중학시절에 쓴『나의 습작기의 시 아닌 시』라는 제목의「노트」, 연희전문 시절에 쓴『창』이라는 제목의「노트」, 41년12월 연전 졸업 무렵 시집을 내기 위해 준비했던 자선 시고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편), 그리고 몇 편의 낱장 원고로 되어 있다. 이번 윤일주씨가 발굴한 작품들은『나의 습작기의 시 아닌 시』와『창』의 후반 부분으로 한동안 분실되었던 것을 찾아낸 것이다.
이들 12편의 작품은『코스모스』『그 여자』『종달새』『이별』『공상』등 시가 5편, 『가을밤』『나무』『사과』『눈』『닭』『할아버지』『만돌이』등 동시가 7편인데 집필 년대가 36년부터 38년까지로 되어있어 용정 광명중학 고학년 때부터 연전 입학 무렵까지 씌어진 작품들임을 알 수 있다.
이번 발굴된 12편의 작품은『쉽게 씌어진 시』(42), 『서시』(4l), 『별 헤는 밤』(41)등 후기 시에 비하면 다소 덜 완숙하나 서정성은 오히려 후기시보다 더욱 두드러져 있다는 점이 특징. 또 이들 시가 씌어지기 1, 2년 앞서 시도했던 정형성의 시도가 깨끗이 가셔져 있다는 점도 쉽사리 눈에 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것은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후략)>로 대변되는 윤동주 후기 시에 자주 등장하는「부끄러움의 미학」이 실상 38년에 씌어진『코스모스』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발표된 윤동주의 시 가운데서「부끄러움」이란 어휘가 사용된 시는『쉽게 씌어진 시』(42)『사랑스런 추억』(42)『참회록』(42)『서시』(41)『별 헤는 밤』(41)『길』(41)『또 태초의 아침』(41)등으로 모두 40년대에 들어 씌어진 것들이나 이번 발굴된『코스모스』에도<(전략) 코스모스는/귀뚜리 울음에도 수줍어지고/코스모스 앞에선 나는/어렸을 적처럼 부끄러워지나니(후략)>라는 대목이 있어 윤동주가 이제까지 알려진 것보다는 몇 년 앞서「부끄러움의 미학」을 시도했음을 짐작케 하는 것이다.
윤동주의「부끄러움의 미학」을『자기혼자만 행복하게 살 수 없다는 아픈 자각의 표현』(김현)으로 본다면 그의 초기 서정시『코스모스』에 나타나고 있는「부끄러움의 미학」은 윤동주 시 세계의 또 다른 새로운 면모라고도 볼 수 있다.
어쨌든 이번 윤동주의 유작 시 12편의 발굴로 윤동주 시 발굴작업은 일단 마무리 지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그가 남긴 작품 1백16편으로 윤동주 문학의 보다 완벽한 정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정규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