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안철수, 신당 공동대표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야권 통합신당이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의원의 공동대표 체제로 가게 됐다. 지도부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동수로 구성하기로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5일 “양측이 5일 연석회의에서 이 같은 사항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도부 수나 임기 등 구체적인 부분은 미정이다. 향후 더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6·4 지방선거를 앞둔 야권 통합신당 창당 작업의 고비는 넘었다.

 그러나 창당 방식을 놓고서는 ‘당 대 당’ 통합과 ‘해산 후 창당’을 두고 양측이 여전히 삐걱거리고 있다. 5일 신당 창당 설명회 참석차 부산을 찾은 새정치연합 안철수 의원은 창당 방식에 대해 “합당 형식이 아니라 제3지대에서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렇게 하려면 민주당은 해산절차를 밟아야 한다. 반면 민주당은 ‘신당 대 민주당’이 결합하는 방식을 내세웠다. 당 대 당 통합방식이다.

 신당추진위의 민주당 측 관계자는 “민주당을 해산하고 신당에 합류하면 문제가 많다. 민주당과 신당이 당 대 당으로 합당하는 것에 새정치연합 측도 양해했다”고 밝혔으나 안 의원의 얘기는 다르다.

 안 의원은 “저희는 아직 당이 아니다. (합당은) 처음부터 논의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어떤 방법이 가능하고 어떤 방법이 국민이 바라는 민심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을 만들 수 있는지에 모든 관심이 쏠려 있으므로 검토를 해야 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처럼 민주당이 ‘당 대 당’ 방식을 고수하려는 데에는 국회의원 두 명뿐인 새정치연합을 위해 당을 해산하고 신당으로 헤쳐 모이는 모양새가 과잉이라는 인식이 있다.

 여기에 수십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손해 보게 된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분기별로 40억7000만원의 국고보조금을 받는데 당을 해산할 경우 19대 총선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받는 7억9000만원을 포기해야 한다. 연간 31억6000만원가량 된다. 또 지방선거 때 받는 선거보조금도 비슷하게 줄어든다.

 하지만 의석 수와 교섭단체 구성에 따라 지급받는 나머지 금액은 현재대로 받는다. 신당 의석 수가 최소한 현재 민주당 의석 수와 같을 경우다. 해산되더라도 비례대표는 무소속으로 유지되며 신당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의석 수 유지는 무난할 전망이다.

 반면 민주당이 해산절차를 밟지 않고 당 대 당 통합 시에는 민주당의 권리 승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금전적 손실이 없다는 게 선관위의 설명이다.

유성운 기자, 부산=하선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