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실질가치 계속 떨어져 손해보는 예금·주식투자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인플레 속에서 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증권시장에서 주식을 사두면 겉보기 재산은 늘어날지 몰라도 실제로는 본전마저 까먹게 된다. 이자나 배상소득보다 물가상승으로 인한 돈 값어치 하락이 더 크기 때문이다. 예컨대 74년9월의 서울소비자물가는 1년전에 비해 28·1%가 올랐다. 말하자면 1백28원을 가져야 1년전의 1백원과 맞먹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은행의 예금이자률은 연구·2%(6개월 만기·74년1월24일 이전에는 12%)에 불과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인 28·1%를 받아도 실질구매력에서는 겨우 본전치기 밖에 안 되는데 은행금리가 이 모양이므로 결국 예금자들은 1년 사이에 본전의 14·9%를 축낸 셈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주식투자가들의 손실에 비하면 훨씬 덜하다.
증권시장에 주식을 내놓은 회사가운데 지난 연말에 결산을 끝낸 78개사 배당계획을 보면 20%이하짜리가 무려 54개사이고 조선공사·대한항공 등 4개사는 아예 한푼도 없다.
게다가 9월말 현재의 전체주식값 자체가 1년전에 비해 17%나 떨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73년9월말에 액면가보다 10%정도 비싸게 주식을 산사람은 1년만에 실질 본전의 30%가량을 축냈다는 계산이 된다.
이와같은 「예금손실」현장은 전세계적인 인플레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일어났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올 연도 경제전망보고서』와 IMF(국제통학기금)통계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예금연시」비교표는 은행예금이 보질 본전에 보탬을 준 나라가 서독뿐임을 가리켜 준다.
그러나 손실의 폭은 프랑스의 0·8% 등 극히, 미미하며 일본만이 17·05%로써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데 일본의 경우 이러한 예금손실이 정부의 경제정책 잘 못으로 인해 빚어졌다고 주장, 일부인사들이 경부를 상대로 연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서 현재 판가름을 기다리고 있다.
한편 한은의 한 관계자는 이와같은 예금손실이 정부의 경제정책의 잘못 때문이라 해도 이를 배상해 준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73년9월 현재 저축성예금 총액이 1조1천3백42억5천만원이었다고 지적, 그 후의 증가액을 그려하지 않더라도 국민들은 그후 1년 동안에 1천6백90억원 이상의 예금손실을 본 셈이라고 계산했다.
그런데 정부는 지난 12·7환율인상 때 l년 이내에 갚아야할 단기부채 6억 달러의 환차손 5백10억원에 대해서는 특혜융자형식으로 보상을 해 줬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