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hi] 안현수 "마지막에 웃을 수 있어 내게 큰 행복"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안현수(29·러시아명 빅토르 안). [사진 중앙포토]

'쇼트트랙 황제' 안현수(29·러시아명 빅토르 안)가 8년 만에 올림픽 3관왕에 성공하며 소치 겨울올림픽을 마쳤다.

안현수는 22일(한국시간) 러시아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팰리스에서 끝난 쇼트트랙 500m, 5000m 계주 결승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냈다. 이로써 안현수는 15일 1000m에 이어 이번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 그는 2006년 토리노 대회에 이어 8년 만에 올림픽 3관왕을 차지했다. 역대 최다 금메달(6개)뿐 아니라 최다 메달(금6·동2)의 주인공도 됐다.

이미 1000m 금메달, 1500m 동메달을 따냈던 안현수는 22일 경기가 열린 아이스버그를 흥분하게 만들었다. 5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따낸 안현수는 5000m 계주 결승에서도 첫 주자로 나서 레이스 내내 러시아의 리드를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일곱바퀴를 남겨놓고 바톤 터치를 한 뒤 특유의 추월 능력을 선보이며 1위로 올라섰고, 막판 2바퀴를 남겨놓고 마지막 주자로 나서 안정적인 레이스로 선두를 지켜냈다. 안현수의 레이스에 러시아 관중들은 아이스버그가 떠나갈 정도로 큰 환호성을 울렸다.

경기 후 안현수는 "이렇게 좋은 성적을 낼 걸로 예상하지 못했다. 8년동안 많은 준비를 해 기쁜 날이 됐다"면서 소감을 밝혔다. 그는 "역대 최다 올림픽 금메달, 메달을 획득하게 돼 기쁘다. 특히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내 마지막에 함께 웃을 수 있게 돼 행복하다"면서 "이번 올림픽은 내게 잊을 수 없는 최고의 대회였다"고 자평했다.

다음은 안현수와 일문일답.

- 역대 올림픽 6번째 금메달을 따낸 소감은.

"선수로서 최고의 위치에 올라온 것에 영광으로 생각한다. 이렇게 좋은 성적을 낼 걸로는 예상하지 못했다. 너무 많은 응원을 받고 8년동안 많은 준비를 해 기쁜 날이 됐다. 아직 시즌이 끝난 건 아니다. 더 운동 생활을 할 지 구체적으로 생각 안 해봤다.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세계선수권이 끝난 뒤에 얘기하겠지만 지금 당장 운동을 그만 둘 생각은 없다. 주변 사람들과 논의한 뒤 결정하겠다."

- 러시아 관중들의 큰 환호를 받았다.

"많은 분들이 응원을 해줬고, 솔직히 러시아에서 쇼트트랙이라는 종목이 많이 안 알려졌다. 그래서 노력한 만큼 러시아 쇼트트랙을 알리는 게 내 작은 목표였다. 그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됐다. 우리 팀이 서로에 경쟁이 되고 많은 힘이 돼 계주에서 좋은 성적을 냈다. 계주에서 메달을 따고 싶었는데 이를 이뤄내서 기쁘게 생각한다."

- 계주 금메달의 의미는 무엇인가.

"계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어느 대회든 계주는 마지막 대회다. 그리고 팀 분위기를 바꿔놓을 수 있는 종목이 계주다. 그래서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했다. 계주에서의 좋은 성적은 자신감을 갖는 계기도 되고, 서로를 믿는다는 의미도 있다. 그래서 이 메달을 우리 선수들과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즐기고 싶다."

- 아폴로 안톤 오노(미국)와 함께 역대 합계 8개의 올림픽 메달을 따냈다. 업적에 대해 자평한다면.

"이 올림픽 자체에 출전하는데 의미가 있었지만 선수는 누구나 메달을 목표로 갖고 있다. 솔직히 욕심은 났다. 4종목에서 모두 결승에 오르는 걸 목표로 잡았고, 1500m가 조금 힘들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메달을 목표로 첫 날 경기에 임했다. 첫 날 경기에서 목표를 달성했던 게 내가 더 부담없이 경기를 치른 계기가 됐다. 그래서 더 마음 편하게 준비했던 게 좋은 성적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8개 메달을 따서 최다 메달을 갖게 됐는데 3차례 올림픽에서 연속 출전해 메달을 따낸 오노도 굉장히 훌륭한 선수라는 걸 생각했다. 내가 앞으로 올림픽을 더 나갈 지에 대해 고민해야겠지만 이 올림픽은 나에게 잊을 수 없는 최고의 대회였다."

- 계주에서 함께 금메달을 딴 게 한국 앞에서 보여주기 위한 것 아닌가.

"선수는 누구나 결과로 보여주기를 원한다. 그러나 누구에게 보여주기 위한 게 아니다. 내 목표였다. 내가 다시 올림픽에 다시 나온 것 자체에 기뻤기 때문에 여기에 의미를 두고 싶다. 팀원들에게 너무 고맙고, 이렇게 같이 마지막에 웃을 수 있다는 건 내게도 큰 행복이다. 러시아에서 쇼트트랙이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자부심을 갖고 더 노력하면 더 좋은 팀이 될 것이다."

소치=김지한 기자 hans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