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들, 의협 총파업 투표 계획 반대…내부 혼란 가중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들이 대한의사협회의 총파업 투표 계획에 반대하고 나섰다. 이에 의협은 의사 회원들의 민의를 따라야 한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의협에 따르면, 19일 시도의사회장협의회는 대전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같은 날 오전 의협 상임이사회에서 결정된 총파업 투표 계획에 반대입장을 정리했다.

이들은 "17일 개최된 확대 비상대책위원회 결정에 따라 총파업 개시일과 방식을 명시하지 않은 채 의정협의 결과에 따른 총파업 찬반 여부만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의협은 전국의사 총파업 시작일을 3월 3일로 결정한 것은 지난 달 11일에 개최된 전국의사 총파업 출정식에 참석한 의료계 대표자 550명의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의협은 “회원들의 민의를 반영한 결과이므로, 이 때 결정한 사항을 비대위가 뒤집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협은 비대위원 18명 중 14명이 사퇴해 이미 기능을 잃었으므로 제2기 비대위가 구성, 출범하기 전까지는 의협 집행부가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갖고 대정부 투쟁의 기능을 수행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9일 상임이사회를 열어 전 회원 투표일시를 21일 오전 9시부터 28일 자정까지로 연기했으며, 회원 투표는 ‘3월 10일 총파업 투쟁 돌입’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키로 결정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총파업 출정식에서 3월 3일을 총파업 시작일로 결정하면서 내건 ‘정부의 입장 변화에 따라 유보될 수 있고 이는 의협 비대위에서 결정한다’는 단서조항에 따른 것이다.

더불어 의협은 지난 18읠 의료발전협의회 공동기자회견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의협은 “이미 의협 측 협상단장이 공동 기자회견과 관련해 사실과 다른 기사들로 오해가 생겼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공동 기자회견을 인정하라고 하는 것이 무엇을 주장하려 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시도의사회장들이 의협 총파업 투표 계획에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총파업 시작일과 방식을 명시하지 않고 파업에 대한 찬반 여부만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기기사]

·병원 ‘약값 후려치기’ 사라지나…제약업계 활기 [2014/02/20] 
·광주 전남대병원 의약품 리베이트 ‘시끌’ [2014/02/20] 
·잠자는 식품(?)의 콧털을 건드려라 [2014/02/20] 
·[카바수술 이야기]20. 더 완벽하게, 더 간단하게 [2014/02/20] 
·응급의학과 1년차 전공의가 ‘대정부 투쟁’ 이끈다 [2014/02/20]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