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서울 전 입학 하늘의 별 따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방 중·고 교생들로 서울에 전 입학했거나 전입 희망자들은 한결같이 『서울의 문턱은 높기도 하다』고 내뱉는다.
68년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가 실시된 이후 지방학생의 전입방법이 달라졌고 수도권 인구억제정책에 따라 전입조건이 까다로와졌으며 게다가 수용능력의 한계는 지방학생을 받아들이는 문을 인색할이 만큼 「좁은 문」으로 만들어놓은 것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중학생은 전입원서를 교부하는 교육구청에 전입신고를 하고도 빨라야 한달, 늦는 경우는 5∼6개월 기다려 학년을 넘겨 전 입학이 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올해의 경우 10월말 현재 13회의 추첨으로 서울시내 각 중학교에는 10월말 현재 1학년 남자 1천48명. 여자 8백9명, 2학년 남자 l천6백16명, 여자 9백76명, 3학년 남자 1천3백78명, 여자 7백96명 등 남자 4천42명, 여자 2천5백81명으로 총 6천6백23명의 지방중학생이 서울에 전입학했다.
그러나 학년과 남녀구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개 교육구청에는 적어서 1백명, 많은 곳은 5백여명의 학생이 배정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
그 중에서도 인구수에 비해 학교수가 적은 편이거나 전통 있는 학교가 있는 서대문구와 종로구가 들어있는 서부 및 북부교육구청관하의 전 입학은 더욱 어려워 서부의 경우 중2 남자만 2백50여명이 순위를 기다리고 있는 형편이다.
고등학교의 경우도 마찬가지.
서울 변두리 도시 고등학교의 서울 전 입학 소동까지 벌인 지난 7월31일의 고등학교 1년생 추첨 배정 때 남자 6백8명, 여자 2백87명 등 8백95명이 지원했으나 그중 남자 3백33명, 여자 1백65명 등 4백98명이 전 입학되고 나머지는 원서 제출 여부로 말썽을 빚어 재학중의 학교로 돌아가야 했다.
결국 이 같은 현상은 결원수가 전입희망 학생 수를 따르지 못하고 정원은 한정돼 있기 때문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말하자면 아무리 전 입학 조건을 갖춘 학생이라도 들어갈 자리가 없는데는 도리가 없고 그 자리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도 전입학 조건을 까다롭게 강화해 놓았기에 그 정도라고 할 수 있을 듯. 그렇지 않았을 경우는 몇 배나 더 많은 학생이 몰리게 될지 모를 것이라는 접수 창구 관계자의 말.
현재 시행중인 전입조건은 전 가족이 서울에 이주, 주민등록부에 올라있지 않으면 원서도 제출할 수 없게 해놓고 있다.
부모의 별거나 사정에 의해 그중 한사람이 주민등록부에 올라있지 않거나 가족중의 한 사람이 지방에 남아 있어도 그 자리서 거절된다. 실제로 대구 모중학교 1학년 L군은 어머니가 사정에 의해 대구에 머물러 있고 서울로 직장이 옮겨진 아버지가 자녀들을 모두 데리고 올라왔지만 그 특수한 사정 때문에 사유서를 제출하지 못해 반년 가까이 끌다 겨우 전입했었다.
이같이 원서조차 접수 못하는 경우는 접수창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 또 전입조건이 갖추어진 학생이라도 ▲교육구청에 주민등록등본 제출 ▲교육 구청의 순위대장 작성 ▲결원 수만큼의 배정대상자를 결정한 뒤 1주일 전에 본인에게의 통보 및 기간 내 등록 ▲월2회 KIST에 의한 학교추첨 ▲배정 후 3일내 본인에게 통지 ▲해당학교에 생활기록부 및 건강기록부제출 등의 절차에 생소해 더욱 까다롭게 느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결국 수용능력이 문제. 서울시교위는 내년에 중학교 5개교 신설을 포함, 97개 학급을 증설할 계획이나 이는 13만5천여명으로 늘어날 서울시내 중학 진학자를 대상으로 한 수용계획, 또 고등학교도 5개교 신설을 포함, 85학급을 증설할 계획이나 이 역시 서울시내 고교 진학자를 위한 수용계획이지 어떤 학교에서 얼마만한 자리가 생겨 얼마만큼 지방 학생을 받아들일 수 있을지는 행정당국은 물론 누구도 점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한 학기에 한번씩 실시하는 인문계고교 전 입학 추첨은 자리수가 적더라도 횟수라도 늘려야한다는 것이 학부모들의 요청이다. 서울시교위의 한 당국자는 서울에 살던 자녀부양책임자가 지방으로 전출하는 경우는 자녀들을 서울에 그냥 두는 일이 많지만 지방에서 서울로 옮겨온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일부러 자녀교육을 위해서 직장을 서울로 옮겨오는 사람이 많은 현 여건에서는 수용능력을 아무리 늘리더라도 학교가 수도권 인구 집중을 따를 수 없어 도리가 없지 않겠냐는 반문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계속 서울에 학교만 세우기 힘든 현 여건하에서는 지방고교의 육성으로 대학진학율을 높이는 정책이 차원을 달리한 해결방법일 뿐 뾰족한 도리가 없지 않겠느냐는 의견이다.<남상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